이옥(이옥)의 한시에 나타난 부부윤리의 성격과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13:49본문
Download : 이옥(이옥)의 한시에 나타난 부부윤리의 성격과 의미.hwp
`탕조`에 해당하는 모든 작품들은 기녀(기녀)를 시적 화자로 설정하고 있따 이처럼 기녀(기녀)가 시적 화자로 문면에 나서서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고 있지만, 기녀의 발화 대상인 남성의 건너편에는 문맥에 드러나지는 않지만 언제나 그 남성의 아내가 상정되어 있다고 해도 무리한 해석은 아닐것이다.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이옥(이옥)의 한시에 나타난 부부윤리의 성격과 의미.hwp( 57 )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작가는 `탕조`에 대해, `탕(탕)은 흐트러져서 가히 금할 수 없음을 이름이라. 이편에서 말하는 바는 모두 창기(창기)의 일이다. .
<9>
환막당농계 그대여 제 머리를 마주하지 마세요
의첨동백유 옷에 동백 기름이 젖는다니까요
환막근농순 그대여 제 입술을 가까이 하지 마세요
홍지연욕류 붉은 연지가 부드럽게 흘러들어 가려니까요
<10>
반퇴탕평채 쟁반에는 탕평채가 쌓여 있고
석취방문주 술자리에서는 방문주에 취하였네
기처빈사첩 그 어느 곳 가난한 선비의 아내는
당반불입구 쇠솥의 밥조차 입에 넣지 못하네.
작품 <9>는 기녀의 목소리를 통해 질탕한 모습을 그려내고 있따…(To be continued )
iok322
이옥(이옥)의 한시에 나타난 부부윤리의 성격과 의미
설명
%EC%9D%98%20%ED%95%9C%EC%8B%9C%EC%97%90%20%EB%82%98%ED%83%80%EB%82%9C%20%EB%B6%80%EB%B6%80%EC%9C%A4%EB%A6%AC%EC%9D%98%20%EC%84%B1%EA%B2%A9%EA%B3%BC%20%EC%9D%98%EB%AF%B8_hwp_01.gif)
%EC%9D%98%20%ED%95%9C%EC%8B%9C%EC%97%90%20%EB%82%98%ED%83%80%EB%82%9C%20%EB%B6%80%EB%B6%80%EC%9C%A4%EB%A6%AC%EC%9D%98%20%EC%84%B1%EA%B2%A9%EA%B3%BC%20%EC%9D%98%EB%AF%B8_hwp_02.gif)
%EC%9D%98%20%ED%95%9C%EC%8B%9C%EC%97%90%20%EB%82%98%ED%83%80%EB%82%9C%20%EB%B6%80%EB%B6%80%EC%9C%A4%EB%A6%AC%EC%9D%98%20%EC%84%B1%EA%B2%A9%EA%B3%BC%20%EC%9D%98%EB%AF%B8_hwp_03.gif)
%EC%9D%98%20%ED%95%9C%EC%8B%9C%EC%97%90%20%EB%82%98%ED%83%80%EB%82%9C%20%EB%B6%80%EB%B6%80%EC%9C%A4%EB%A6%AC%EC%9D%98%20%EC%84%B1%EA%B2%A9%EA%B3%BC%20%EC%9D%98%EB%AF%B8_hwp_04.gif)
%EC%9D%98%20%ED%95%9C%EC%8B%9C%EC%97%90%20%EB%82%98%ED%83%80%EB%82%9C%20%EB%B6%80%EB%B6%80%EC%9C%A4%EB%A6%AC%EC%9D%98%20%EC%84%B1%EA%B2%A9%EA%B3%BC%20%EC%9D%98%EB%AF%B8_hwp_05.gif)
%EC%9D%98%20%ED%95%9C%EC%8B%9C%EC%97%90%20%EB%82%98%ED%83%80%EB%82%9C%20%EB%B6%80%EB%B6%80%EC%9C%A4%EB%A6%AC%EC%9D%98%20%EC%84%B1%EA%B2%A9%EA%B3%BC%20%EC%9D%98%EB%AF%B8_hwp_06.gif)
iok322 , 이옥(이옥)의 한시에 나타난 부부윤리의 성격과 의미인문사회레포트 ,
다. 사람의 도리가 이에 이르면 또한 질탕한지라 가히 제어할 수 없음이라, 그러므로 이름하기를 `탕(탕)`으로써 하니 또한 시경에는 정풍과 위풍이 있음이라`고 기술하면서 총 15편을 紹介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