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後感, 감상문(report)] [철학 讀後感]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06:49
본문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철학 독후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hwp
서문을 보면, 서구적 합리성의 문제와 관계된 사회비판의 전락을 메타理論적으로 천착해 보는 것을 주요 목표(目標)로 삼은 책인 것을 알 수 있다아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두 철학자. 미셸 푸코와 위르겐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베버의 합리화 理論,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초기理論, 과학철학, 철학적 해석학등도 원용하였지만 하버마스의 비판理論과 푸코의 계보학을 서양 근현대정신과 합리성에 대한 가장 특징있는 독해의 한 예로 간주하고 서로 비교, 대치하면서 가능한 제3의 길을 암시하려 했다. 공자는 주나라의 예악 文化(culture) 를 숭상했고 무너져 가는 나라를 걱정한 것은 사실이나 이것이 강압적인 봉건제도로의 회귀를 뜻한다는 것은 무리…(skip)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다.[독후감,감상문] [철학 독후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 [독후감,감상문] [철학 독후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감상문] [철학 독후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讀後感, 감상문(report)] [철학 讀後感]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순서
[독후감,감상문],[철학,독후감],푸코와,하버마스를,넘어서-합리성과,사회,비판,감상서평,레포트
![[독후감,감상문]%20[철학%20독후감]%20푸코와%20하버마스를%20넘어서-합리성과%20사회%20비판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C%B2%A0%ED%95%99%20%EB%8F%85%ED%9B%84%EA%B0%90%5D%20%ED%91%B8%EC%BD%94%EC%99%80%20%ED%95%98%EB%B2%84%EB%A7%88%EC%8A%A4%EB%A5%BC%20%EB%84%98%EC%96%B4%EC%84%9C-%ED%95%A9%EB%A6%AC%EC%84%B1%EA%B3%BC%20%EC%82%AC%ED%9A%8C%20%EB%B9%84%ED%8C%90_hwp_01.gif)
![[독후감,감상문]%20[철학%20독후감]%20푸코와%20하버마스를%20넘어서-합리성과%20사회%20비판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C%B2%A0%ED%95%99%20%EB%8F%85%ED%9B%84%EA%B0%90%5D%20%ED%91%B8%EC%BD%94%EC%99%80%20%ED%95%98%EB%B2%84%EB%A7%88%EC%8A%A4%EB%A5%BC%20%EB%84%98%EC%96%B4%EC%84%9C-%ED%95%A9%EB%A6%AC%EC%84%B1%EA%B3%BC%20%EC%82%AC%ED%9A%8C%20%EB%B9%84%ED%8C%90_hwp_02.gif)
![[독후감,감상문]%20[철학%20독후감]%20푸코와%20하버마스를%20넘어서-합리성과%20사회%20비판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C%B2%A0%ED%95%99%20%EB%8F%85%ED%9B%84%EA%B0%90%5D%20%ED%91%B8%EC%BD%94%EC%99%80%20%ED%95%98%EB%B2%84%EB%A7%88%EC%8A%A4%EB%A5%BC%20%EB%84%98%EC%96%B4%EC%84%9C-%ED%95%A9%EB%A6%AC%EC%84%B1%EA%B3%BC%20%EC%82%AC%ED%9A%8C%20%EB%B9%84%ED%8C%90_hwp_03.gif)
![[독후감,감상문]%20[철학%20독후감]%20푸코와%20하버마스를%20넘어서-합리성과%20사회%20비판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20%5B%EC%B2%A0%ED%95%99%20%EB%8F%85%ED%9B%84%EA%B0%90%5D%20%ED%91%B8%EC%BD%94%EC%99%80%20%ED%95%98%EB%B2%84%EB%A7%88%EC%8A%A4%EB%A5%BC%20%EB%84%98%EC%96%B4%EC%84%9C-%ED%95%A9%EB%A6%AC%EC%84%B1%EA%B3%BC%20%EC%82%AC%ED%9A%8C%20%EB%B9%84%ED%8C%90_hwp_04.gif)
[讀後感, 감상문(report)] [철학 讀後感]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Download : [독후감,감상문] [철학 독후감]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hwp( 34 )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합리성과 사회 비판
들어가기전에
“윤리”는 고등학교 필수 과목이며, 수능시험에도 나오기 때문에 친숙할 수밖에 없는
과목이다.
결국 전혀 몰랐던 현대 철학의 흐름과 견해를 조금이나마 맛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1부 서양 근대성의 해부
서양 근대성의 기본 이념은 18세기에 발생한 계몽주의 운동에서부터 그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다아 특징을 요약해 보면, 첫째 이성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계몽사상을 특징 짓고 있다아 이는 데카르트의 유명한 연역법을 보면 알 수 있다아 이성이야말로 스스로와 세계를 이해하는core적 요소라는 것이다. 이는 두 번째 특징인 자연관의 變化, 세 번째 특징인 진보의 교의
와도 연결된다
(다만 여기서 공자가 복고주의를 설파했으며 이것이 계몽사상에서의 진보의 이념과 상통한다는 주장은 의문이 간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상 부문. 그 중 에서도 서양 윤리 사상은 그리스 시대의
소크라테스부터 경험론과 합리론. 나아가서는 현대 철학의 하이데거에 이르기까지의
전체적인 내용을 introduce하고 있다아 그런데 실존주의자인 하이데거 이후의 철학자들과
그 경향 같은 내용은 나오지 않을뿐더러, 쉽게 다가서기 힘든 철학 과목의 特性상
알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