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어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4 05:16
본문
Download : 한자어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hwp
……단이 정백을 부르는 것으로 그가 동생임을 알았다.한자어 상용어의 변화양상에 대해서 연구하였습니다. 예컨대, ≪세설신어≫ 중의 목는 본래의 명사 ‘눈’(안정)과 동사 ‘보다’(간시)의 의미항목 이외에 ‘부르다・일컫다’(칭호), ‘품평하다’(품평)라는 의미항목이 있다아 그 쓰임은 다음과 같다.)
환정서치강릉성심려, 회빈료출강진망지, 운“약능목차성자, 유상.” 고장강시위객재좌, 목왈“요망층성, 단루여하.” 어언85
(환정서가 강릉성을 매…(省略)
설명
레포트/기타






다.
한자어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
Ⅰ. 머리말
Ⅱ. 상용어의 change(변화) 양상
Ⅲ. 상용어의 연구 방법
Ⅳ. 연구의 의의
Ⅴ. 연구의 문제가되는점
Ⅵ. 맺음말
Ⅱ. 상용어의 change(변화) 양상
1. 의미항목의 확대 및 축소와 전이
한 단어가 갖는 의미항목이 증감하거나 전혀 다른 의미로 전이되는 것을 말하며, 어휘change(변화)의 핵심내용이다. 다시 말해, 단어의 의미항목의 수가 증가되는 것이다.한자어의상용어연구에관한고찰 , 한자어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기타레포트 ,
순서
한자어의상용어연구에관한고찰
,기타,레포트
Download : 한자어의 상용어 연구에 관한 고찰.hwp( 99 )
한자어 상용어의 變化양상에 관련되어 연구하였습니다. ≪세설신어≫내 상용어의 쓰임을 통해, 살펴본 확대, 축소, 전이는 다음과 같다. 이때 증가되는 의미항목은 기본의미에서 좀더 확대된 concept(개념)을 내포한다.(장진덕・송자연, 1995120)
단, 정백제야……이기목군, 지기위제야. ≪곡량전・은공・원년≫
(단은 정백의 동생이다.
‘확대’라는 것은 단어의 쓰임이 넓혀지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