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야담 작품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4:04
본문
Download : 어우야담 작품 분석.pptx
인륜편, 종교편, 학예편, 사회편, 만물편.
_SLIDE_6_
3.어우야담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명실론
공자
노자, 장자
vs
_SLIDE_7_
-어우야담의 명실론
유몽인의 명실관은 규정을 부정함으로써
개방적이고 자유분방한 상대주의적 인식에
다다른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벼슬을 내놓고 전전하다가
역모로 몰려 아들 약과 함께 사형되었다.
_SLIDE_4_
2. 어우야담(於于野譚 )
-야담이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history적 사건이나 인물에 관한 이야기.
야사(野史) 야승(野乘) 패사(稗史) 패설(稗說) 등의 용어로 통용.
_SLIDE_5_
-어우야담야사(野史)항담(巷談)가설(街說) 등이 수록되었는데,흔히 민간에 유포된 음담패설이 아닌 풍자적인...
_SLIDE_1_
어우야담.
_SLIDE_2_
목차
작가紹介(소개)
2. 어우야담이란
3. 어우야담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4. 살펴볼 작품
5. 어우야담에 대한 조원의 opinion(의견)
6. 출처
7. 질의 응답
_SLIDE_3_
1. 유몽인(柳夢寅)
어우야담의 작가 유몽인
(柳夢寅:1559∼1623)
조선 중기의 문신. 문장이 뛰어나
1593년 세자시강원문학이 되어
왕세자에게 글을 가르쳤다. 예로부터 …(생략(省略))
어우야담 작품 분석 , 어우야담 작품 분석인문사회레포트 , 어우야담 작품
어우야담 작품 analysis
Download : 어우야담 작품 분석.pptx( 95 )






어우야담,작품,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결국 이것은 인간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존재자체를 규정할 수 없음과 습관적인 규정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이러니를 보여주는 이야기들로 귀착된다 또한 『어우야담』에는 당 시대 인물들에 관한 귀족, 천민 구별 없는 다양하고도 수많은 인물담이 실려 있어, 그의 상대주의적 인물관을 드러낸다.
_SLIDE_4_
2. 어우야담(於于野譚 )
-야담이란
예로부터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history적 사건이나 인물에 관한 이야기.
야사(野史) 야승(野乘) 패사(稗史) 패설(稗說) 등의 용어로 통용.
_SLIDE_5_
-어우야담야사(野史)항담(巷談)가설(街說) 등이 수록되었는데,흔히 민간에 유포된 음담패설이 아닌 풍자적인 설화와 기지 있는 야담들로서 조선 중기 설화문학의 좋은 data(자료)이다. 1623년
인조반정으로 벼슬을 내놓고 전전하다가
역모로 몰려 아들 약과 함께 사형되었다.
순서
어우야담 작품 analysis
_SLIDE_1_
어우야담.
_SLIDE_2_
목차
작가紹介(소개)
2. 어우야담이란
3. 어우야담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4. 살펴볼 작품
5. 어우야담에 대한 조원의 opinion(의견)
6. 출처
7. 질의 응답
_SLIDE_3_
1. 유몽인(柳夢寅)
어우야담의 작가 유몽인
(柳夢寅:1559∼1623)
조선 중기의 문신. 문장이 뛰어나
1593년 세자시강원문학이 되어
왕세자에게 글을 가르쳤다.
‘규정 불가능’이라는 유몽인의 명실론은
그의 인생관, 세계관과도 유관하다.
-이월령 교수
_SLIDE_8_
4.작품
삼년상을 지내면서 나물밥에 물만 먹는 것은 『예경』禮經에 실려 있는데, 우리나라의 상례는 한결같이 이를 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