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대중文化(문화)를읽고 > tropical7 | tropical.kr report

대중文化(문화)를읽고 > tropica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7

대중文化(문화)를읽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3 19:49

본문




Download : 대중문화를읽고.hwp




대중문화,감상서평,레포트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REPORT
김승민

대중culture를 읽고나서

책에 대해 먼저 느꼈던 것은 ‘좀 어렵다.
책을 읽으면서 기억에 남는 장은 youth과 대중culture, TV를 움직이는 것들, TV의 힘, 소비 사회의 대중이었다. youth과 대중culture는 일단 초점이 내 또래에 맞춰졌기 때문에 읽기가 수월했다.
제일 공감했던 부분은 10대들이 탈출구로서 대중culture에 쉽게 빠져든다는 점이었다.
특히 내가 요약해 간 부분이 culture적 민주주의는 무엇이고, 그레샴의 법칙은 무엇이고 하는 교수나 학자들의 定義(정의) 설명(說明)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얼마 전, 신문사설을 읽다가 ‘협찬 노출’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그레샴의 법칙을 예를 들면서 자신의 주장을 했었는데, 그래도 뭔가는 배웠다는 느낌이 들었다. ‘culture적 민주주의’란 황금시간대에 다수의 사람들만을 위한 program을 편성한다는 것이고, ‘소아주의’란 시청률 극대화 즉, 다수의 사람들을 겨냥한 질의 방송을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주말 6시부터 8시 사이는 거의 모든 방송사들이 수준 낮은 오락program을 내보내고 있다아
그러면서도 시사적인 문제를 다루는 토론program이나 culture에 대해 이야기하고 introduce해주는 program은 거의 심야에 다뤄지고 있다아 이렇게 된다면, 시사/교양에 대해 관심을 갖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밤늦게 까지 자지 않고, 봐야하는 현상이 생길 수도 있다아 TV의 힘에서는 특히 여성의 문제를 다룬 것이 좋았…(To be continued )
대중文化(문화)를읽고





순서



대중문화를읽고 , 대중문화를읽고감상서평레포트 , 대중문화
대중문화를읽고_hwp_01.gif 대중문화를읽고_hwp_02.gif

Download : 대중문화를읽고.hwp( 74 )






대중文化(문화)를읽고

다.
TV를 움직이는 것들에서는 ‘culture적 민주주의’와 ‘소아주의’에 많이 공감을 했다. 시대가 변해서 아무리 youth들의 culture공간이 많아졌다고는 하지만, 어른들의 위한 소비 공간 수에 비해 훨씬 적고, 또한 culture공간이라는 명목 하에 세워진 것들의 성향이 거의 모두가 천편일률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성향들이 대부분 youth보다는 어른들에 초점이 맞춰져있어, 진정 우리가 즐길 수 있는 공간은 극히 제한적이다.’라는 느낌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대중culture에 빠져들고, 심지어 중독 되는 현상까지 보이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밖에 없다.
전체 40,8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