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 > tropical7 | tropical.kr report

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 > tropica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7

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5 23:38

본문




Download : 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hwp




이는 우리 조상을 인도의 차차신(次次神) 환인의 아들로 보는 “용서할 수 없는 민족적 모독” 김인서(1952), “檀君論”, 「신앙생활」 11-3 : 「김인서저작전집」, 5권(1971), 392.
이라고 하였다. 그는 현존 「삼국...

다. 한족(漢族)…(To be continued )
순서




2. 김인서의 단군신화 이해

2. 김인서의 단군신화 이해 기독교의 입장에서 처음으로 단군신화를 비판적으로 언급한 이는 김인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승 일연이 우리 민족의 지고신 하나님을 불교에서는 부처(佛) 아래의 차차신(次次神)인 제환인다라(提桓因陀羅)로 바꾸어 놓았다고 비판한다. 제환(提桓)은 천이요 인다라(因陀羅)는 신을 듯하므로, 환인은 곧 천신이요 우리말의 하나님이라는 것이다. 그는 현존 「삼국... , 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기독교의 입장에서 처음으로 단군신화를 비판적으로 언급한 이는 김인서이다. 우리 조상은 최고신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현존 「삼국유사」의 단군신화는 역사(歷史)적 고찰의 근거가 희박하고 단지 우리의 전통신관을 불교식으로 윤색한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먼저 삼국유사의 환인(桓因)을 제환인다라(提桓因陀羅)의 약어로 보았다. 환인이 천신이듯이 환웅은 천자 혹은 천왕인 듯 하다고 하였다.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단군신화의 기독교 신학적 해석.hwp( 63 )



설명
단군신화의%20기독교%20신학적%20해석_hwp_01.gif 단군신화의%20기독교%20신학적%20해석_hwp_02.gif 단군신화의%20기독교%20신학적%20해석_hwp_03.gif 단군신화의%20기독교%20신학적%20해석_hwp_04.gif 단군신화의%20기독교%20신학적%20해석_hwp_05.gif 단군신화의%20기독교%20신학적%20해석_hwp_06.gif

2. 김인서의 단군신화 이해

기독교의 입장에서 처음으로 단군신화를 비판적으로 언급한 이는 김인서이다.
환웅이 인간의 몸으로 변하고 곰이 여인의 몸이 되어 교합하여 단군을 낳았다는 것은 우리 조상인 단군을 곰의 아들로 보는 것이며, 이러한 인수교합(人獸交合) 신화는 조선 본래의 전설이 아니고, 인도교에서 influence(영향)을 받은 와전이라고 한다.
전체 40,87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