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기의 문법 의식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0:35
본문
Download : 15세기의 문법 의식.hwp
그러나 이 글에 이어지는 『훈민정음』 해례의 어떤 부분에도 우리말의 구조가 중국말과 다르다는 것을 어느 범위까지 의식하고 있는지 밝혀져 있지 않다.
순서
언해문 이두 구결 / (국문학)
Download : 15세기의 문법 의식.hwp( 23 )
언해문 이두 구결 / (국문학)
언해문 이두 구결
4. 이두의 품사 분류





2. 언해문의 어사 분류
15세기의 문법 의식에 대하여
5. 문법 의식 종합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6. 마 무 리
3. 구결의 분류
『훈민정음』서문에 있는 ‘우리 나라의 말이 중국말과 달라서 한문과는 통하지 아니하므로(國之語音異乎中國, 與文字不相流通),......’라는 기록은 우리말의 구조에 대한의식이 드러난 최초의 기록이다. 그런데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이후 한글로 기록된 여러 문헌을 면밀히 살펴보면 우리말의 문법에 대한 직접적인 기록은 없지만 15세기 당시의 우리말에 대한 문법 의식은 엿볼 수 있다
1. 들 머 리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