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발효음식] 한국전통음식文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7 16:35본문
Download : 한국전통음식문화(올린것).hwp
1-3 장담글때 관련된것
⑤ 상주 : 마실 줄도 알고 좋아도 하면서 무슨 잇속이 있을 때만 술을 내는 사람
⑪ 기주 : 술의 진미에 반한 사람
④ 은주 : 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고 취할 줄도 알지만 돈이 아쉬워서 혼자 숨어 마시는 사람
레포트 > 기타
만에 용수를 박아서 뜬 것이다. 젓은 어패류의 살, 내장, 알을 약 20%의 농도가 되도록 소금에 절여 상온에서 일정기간 보관하여 자체 내에 있는 자가분해 효소와 미생물에 의한 발효작용으로 생긴 유리 아미노산과 핵산 분해산물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특유한 감칠맛을 가지게 되는 가formula품의 하나이다.
[전통발효음식] 한국전통음식文化
⑬ 폭주 : 주도를 수련하는 사람
물이 세 홉 가량쯤 줄어 들면 쏟아 식혀서 바친것이다. 각 민족의 전통주들은 나라마다 특색있는 술culture로 정착 발전되었으며 그 민족 나름대로의 멋과 맛을 이루고 있다
⑩ 애주 : 술의 취미를 맛보는 사람
우리 조상들은 삼국 형성기에 염장기술과 양조기술을 정착시켰으며 삼국시대 초기에 이미 오늘날 우리 음식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주류, 식초류, 장류, 침채류, 혜류 등 오대 발효음식 culture권을 완성하였다. [이용대상] 교양과목인 한국전통음식文化에대해 알아보기
음식culture 중에서도 술culture는 국적과 민족성이 뚜렷한 기호음료culture이다.
우리나라의 젓갈은 주로 수산동물을 소금에 절여 삭인 발효성 가formula품이다. 간장을 뜨고 남은 메주를 부스러뜨려 소 금을 친 것이 된장이다.
식해는 생선에 소금과 밥 등의 전분질을 함께 섞어 절여, 젓보다 자연발효로 생긴 유산에 의해 부패를 방지한 저장식품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시를 지금의 청국장 전국장으로 일종의 된장류라고 하였다.
양배추김치, 가지김치, 박김치, 오이지 등
3. 젓갈의 culture
장의 文化
이러한 젓갈은 숙성과정중에 독특한 맛이 생기므로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사용해온 음식으로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이점과 함께 지방에 따라 계절에 따라 많은 종류의 젓갈들이 우리의 식탁을 꾸며 왔다.
-5158_01_.gif)
-5158_02_.gif)
-5158_03_.gif)
-5158_04_.gif)
-5158_05_.gif)
채소재배는 농경이 시작되면서부터 이루어 졌고, 각 채소가 이용된 시대는 다르다. 이들 저장성 발효음식은 오늘날까지 우리 음식 culture의 구조적 바탕을 이어오면서 우리의 입맛을 지배하였고, 우리 민족은 이를 스스로 즐기며 발효음식을 빚는 전통을 이어온 것이다.
4. 술의 culture
젓갈의 文化
술의 文化
1-1 장담그기, 1-2 장의종류(간장, 고추장, 청국장, 즙장, 어육장)
젓갈이란 젓과 식해를 통털어 일컫는 말이다.
- 간장 : 콩을 삶아서 메주를 만들어 까맣게 뜨면 씻어서 쪼개어 말려서 소금물을 부어 장을 담근 후 3~4개월
⑫ 탐주 : 술의 진경을 체득한 사람
⑧ 반주 : 밥맛을 돕기 위해서 마시는 사람
등등..아주많은 data(자료)가 있습니다.
백김치, 동치미, 총각김치, 호박지 등
⑯ 락주 : 마셔도 그만 안마셔도 그만, 술과 더불어 유유자적하는 사람
장은 상고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전통적 식생활의 기본적인 조미료이면서 부식품으로 상용하여 온 콩류 가공음식의 하나이다.
1.2 장의 종류
2-1 김치의 어원, 2-2 계절별 대표적인 김치, 2-3 증보산림경제의 김치, 김치의 변화 등등
- 가을(9∼11월) : 고들빼기김치, 가지김치, 총각김치, 파김치, 고춧잎김치,
가을갓김치, 콩잎김치, 깻잎김치, 통배추김치, 동아김치 등
봄갓김치, 얼갈이김치, 미나리김치 등
- 겨울(12∼2월) : 섞박지, 통배추김치, 보쌈김치, 깍두기, 통무김치,
- 덧장 : 덧장은 장을 더 맛있게 하기 위하여 소금물에 장을 담그지 않고 장물에 메주를 넣어 담근것이다. 초기에는 무, 오이, 박, 죽순, 가지, 동아로 김치를 담그다가 속을 넣어 통김치를 담글 만큼 품종이 좋은 배추가 재배되기 시작하여 통배추 김치를 담그게 되었다.
...
음주에는 무릇 18의 계단이 있다
⑨ 학주 : 술의 진경을 배우는 사람
`훈몽자회`에는 장과 시로 기록되었는데 장은 지금의 간장이고, 시는 장과는 다른 것이다.
한국 전통음식인 장의 문화 1-1 장담그기, 1-2 장의종류(간장, 고추장, 청국장, 즙장, 어육장) 1-3 장담글때 관련된것 김치의 문화 2-1 김치의 어원, 2-2 계절별 대표적인 김치, 2-3 증보산림경제의 김치, 김치의 변화 등등 젓갈의 문화 3-1 젓, 3-2 식해, 3-3 어육장 술의 문화 4-1 민족주의 역사, 4-2 누룩, 4-3 음주예법 [이용대상] 교양과목인 한국전통음식문화에대해 알아보기
1) 간 장
한국 전통음식인
⑱ 폐주 : 리반주 : 술로 말미암아 다른 술 세상으로 떠나게 된 사람
Download : 한국전통음식문화(올린것).hwp( 40 )
김치의 文化
- 급장 : 급장은 소금과 밀가루를 각각 타지 않게 볶아서 합하여 오래 묵은 된장과 섞어서 물을 붓고 끓여
② 외주 : 술을 마시긴 마시나 술을 겁내는 사람
① 불주 : 술을 아주 못먹거나 안 먹는 사람
순서
③ 민주 : 마실 줄도 알고 겁내지도 않으나 취하는 것을 민망하게 여기는 사람
- 봄(3∼5월) : 돌나물김치, 햇배추김치, 파(봄)김치, 시금치김치,
2.2 계절별 대표적인 김치의 종류
1. 장의 culture
⑥ 색주 : 성생활을 위하여 술을 마시는 사람
4-1 민족주의 역사, 4-2 누룩, 4-3 음주예법
설명
⑮ 석주 : 술을 아끼고 인정을 아끼는 사람
한국 전통 발효음식, 장, 김치, 술, 젓갈, 문화
⑰ 관주 : 술을 보고 즐거워하되 이미 마실 수 없는 사람
⑭ 장주 : 주도 삼매에 든 사람
전통적인 식생활 양식 속에는 조상 전래의 슬기가 담겨져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민족의 정서도 어려있는 것이다.
⑦ 수주 : 잠이 안 와서 술을 마시는 사람
3-1 젓, 3-2 식해, 3-3 어육장
2. 김치의 culture
- 여름(6∼8월) : 열무김치, 열무물김치, 부추김치, 오이소박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