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제8장 시민 사회와 시민 미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13:56본문
Download : 퍼블릭_액세스권의_실현.hwp
즉 일반 시민들이 직접 program을 기획하고, 제작하고, 출연하고, 또 그것을 방송함으로써 자신들의 다양한 opinion(의견)을 다른 시민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퍼블릭 액세스에 관한 논의는 시청자 참여 program이나 옴부즈맨 program 등과 ...





다. 나 또한 시민 미디어라는 말을 듣고는 막연하게 시민이 미디어를 직접 만드는 것인가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하다가 시민이 참여하는 program들을 뜻하는 것인가 했다.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제8장 시민 사회와 시민 미디어 시민 미디어의 현실...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제8장 시민사회와 시민미디어 시민 미디어의 현실...
인문사회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제8장 시민 사회와 시민미디
Download : 퍼블릭_액세스권의_실현.hwp( 66 )
순서
[인문사회]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제8장 시민 사회와 시민 미디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퍼블릭 액세스권의 실현 -제8장 시민사회와 시민미디어 시민 미디어의 현실 시민 미디어라는 관념이 한국 사회에서는 무척 생소하다. 그런 의미에서 퍼블릭 액세스 program은 단순히 시청자가 참여하는 program의 범위를 넘어선다. 물론 여러 언론 학자나 언론인들은 귀가 따갑겠지만 실상 당사자인 시민들은 이것이 뭔가 하고 물음표를 던진다. 그러나 이 시민 미디어라는 것은 막연히 참여만 하여 program의 무대 장치가 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이 직접 주체가 되는 액세스권, 즉 퍼블릭 액세스의 관념에서 나오는 것이다. 퍼블릭 액세스권 액세스권의 기본 취지는 매스 미디어로부터 소외된 대중에게 미디어에 자유로이 접근하고 또 그것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해야 한다는 데 있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포괄적인 액세스 관념이고 현재 논의가 되고 있는 퍼블릭 액세스 채널, 또는 액세스 program은 좀더 구체적인 형태를 띤다. 한국 사회에서의 시민미디어 혹은 퍼블릭 액세스에 대한 짧은 논의의 history를 돌아보면 우리 사회의 시민미디어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즉 노동자나 주변인 혹은 일반대중과 같은 밑으로부터의 시민미디어 논의는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대신 소수의 지식인, 사회적 명망가, 시민운동가, 기존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제한적 형태의 토론회가 반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시민 없는 시민미디어’의 위험성을 직시하고, 지식인, 시민운동가가 일반대중과 결합되는 보다 광범위한 시민미디어 운동의 방향성을 견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