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3:45본문
Download : [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hwp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적는 표기법으로 신라 시대의 향가 표기에 사용되었다. 향찰(鄕札) 향찰은 향가의 기록에 사용된 차자 표기를 일컫는 말이다. 전자는 고대의 금석문이나 기타의 문헌 reference(자료)에 등장하는 고유 명사 표기로부터, 후자는 이른바 임신서기석의 각문으로부터 각각 실증할 수 있다. 구결은 문장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문 구절 끝에 토를 달아 놓은 것을 가리킨다.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해 우리말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표기하게 되는 차자 표기에는 향찰, 구결, 이두 등이 있다.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이용하여 실사는 물론이고 우리말의 조사나 어미까지 표기하게 되는 차자 표기는 용법의 성격에 따라 향찰(鄕札), 구결(口訣), 이두(吏讀) 등으로 하위 분류 되지만, 그 원리는 한자의 차음(借音)과 차훈(借訓)이라는 두 가지밖에 없다. 향찰이라는 명칭은 1075년에 혁련정이 지은 승려 균여의 전...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요약 그림 문자와 유사한 선사 시...
다. 한자의 전래는 기원전 부족 국가 시대까지 소급되지만, 한자 전래의 초기에 있어서 표의 문자인 한자의 사용은 우리말에 대한 표기라기보다는 의사의 표현이라 하는 것이 적절하며,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한문을 이용한 문장 표기는 이러한 범주에 해당하는 것이다. 한자를 이용한 우리말 표기 한자를 이용한 우리말 표기의 시초는 어휘 차원에서 한자의 음을 이용하여 고유 명사를 표기한 것, 그리고 문장 차원에서 한국어식 어순으로 한자를 배열하여 우리말의 통사 구조를 반영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하여 우리말을 적는 표기법으로 우리말 어순에 의해 표기를 한다.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요약 그림 문자와 유사한 선사 시...
순서
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
설명
Download : [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hwp( 50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115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9D%B4%EB%91%90,%20%ED%96%A5%EC%B0%B0,%20%EA%B5%AC%EA%B2%B0%EC%9D%98%20%EC%B0%A8%EC%9D%B4%EC%A0%90%EC%9D%80%20%EB%AC%B4%EC%97%87%EC%9D%B8%EA%B0%80-1154_01.gif)
![[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1154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9D%B4%EB%91%90,%20%ED%96%A5%EC%B0%B0,%20%EA%B5%AC%EA%B2%B0%EC%9D%98%20%EC%B0%A8%EC%9D%B4%EC%A0%90%EC%9D%80%20%EB%AC%B4%EC%97%87%EC%9D%B8%EA%B0%80-1154_02_.gif)



[인문]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
이두, 향찰, 구결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요약 그림 문자와 유사한 선사 시대의 암각화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 민족의 문자 생활은 중국(China)의 한자에 의해서 스타트되었다고 하겠다. 차훈에 의한 표기는 해당 어휘의 음상을 반영한 것은 아니지만, 말음 첨기(末音添記)와 같은 보조 표기를 통하여 음상의 일단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