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와 창덕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21:36본문
Download : 종묘와 창덕궁.pptx
국보 제227호.
_SLIDE_6_
종묘의 내부
정전 : 왕이 나와서 조회(朝會)를 하던 궁전
영녕전 : 왕과 왕비로서 종묘에 모실 수 없는 분의 신위를 모 시던 곳…(To be continued )
레포트/기타
종묘와 창덕궁
Download : 종묘와 창덕궁.pptx( 46 )
다. 조선 태종 12년(1412)에 세웠으며 임진왜란 때 불 타 버린 것을 광해군 즉위년(1608)에 창덕궁을 다시 지으면서 문도 함께 세웠다. 진선문에는 태완2년에 신문고를 설치를 하였으나 민원이 많아져 조정에서 문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_SLIDE_3_
창덕궁의 내부1,2
돈화문 : 돈화문은 조선시대 5대 궁의 하나인 창덕궁의 정문이다. 진선문의 뜻이 선을 나아가는 문이라는 뜻입니다.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 왕위를 이어받는 의식이 거행되던 곳으로, 정전인 인정전과 함께 조선왕조 궁궐의 위엄과 격식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아
4. 대조전 : 대조전은 왕비의 침소로, 임금의 정침 바로 뒤에 위치한다. 조선 태종 12년(1412)에 세웠으며 임진왜란 때 불 타 버린 것을 광해군 즉위년(1608)에 창덕궁을 다시 지으면서 문도 함께 세웠다.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 창덕궁의 대조전은 희정당의 바로 뒤편에 일곽을 구성하고 있다아
5. 낙선재 : 이 문은 창덕궁과 창경궁의 경계였다. 지금 있는 건물의 앞쪽은 도로포장공사로 지면이 높아져 약간 묻혀 있다
진선문 :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이 있습니다. 진선문의 뜻이 선을 나아가는 문이라는 뜻입니다.
_SLIDE_4_
창덕궁의 내부3,4,5
3. 인정문, 인정전 : 인정문은 창덕궁...
_SLIDE_1_
종묘와 창덕궁
_SLIDE_2_
창덕궁이란
창덕궁은 1405년(태종 5년) 조선왕조의 이궁으로 지은 궁궐이다. 진선문에는 태완2년에 신문고를 설치를 하였으나 민원이 많아져 조정에서 문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지금 있는 건물의 앞쪽은 도로포장공사로 지면이 높아져 약간 묻혀 있다
진선문 :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이 있습니다. 그래서 낙선재는 원래 창경궁에 속하는 곳이었는데 지금은 창덕궁으로 되어 있다
_SLIDE_5_
종묘란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세종 3년(1421)에 영녕전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타 버리고 선조 41년(1608)에 다시 세운 것이 지금 종로 3가에 남아 있다아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文化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이웃한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이라 불렀다.
종묘와,창덕궁,기타,레포트
종묘와 창덕궁
순서
종묘와 창덕궁 , 종묘와 창덕궁기타레포트 , 종묘와 창덕궁
설명






_SLIDE_1_
종묘와 창덕궁
_SLIDE_2_
창덕궁이란
창덕궁은 1405년(태종 5년) 조선왕조의 이궁으로 지은 궁궐이다.
_SLIDE_3_
창덕궁의 내부1,2
돈화문 : 돈화문은 조선시대 5대 궁의 하나인 창덕궁의 정문이다.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이웃한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이라 불렀다.
_SLIDE_4_
창덕궁의 내부3,4,5
3. 인정문, 인정전 : 인정문은 창덕궁의 중심 건물인 인정전의 정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