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학습심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1:11
본문
Download : 학습심리(2).hwp
행동주의theory 의 근본원리는 자극과 reaction(반응)간의 연합이 학습을 의미하며, 자극이란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모든 環境(환경)을, reaction(반응)은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학습자의 행동을 의미한다. 연구방법은 자기 보고서식이라 주관적이며 비과학적이지만 행동주의는 행동을 통해 예측, 통제하는 것이 goal(목표) 로서 행동은 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관찰 가능하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조작하고 reaction(반응)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패턴을 파악할 수 있고 통계를 낼 수 있어서 실용적이다.
구성주의와 기능주의는 연구의 대상이 인간이라는 공통점을 갖지만 구성주의는 인간의 의식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췄다면 기능주의는 인간의 의식이 어떤 기능, 역할을 하는가에 중점을 둔다. 구성주의와 기능주의행동주의는 연구 goal(목표) 로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정신작용이다.
기능주의는 의식은 하나의 통일체로 기능하며 의식의 목적은 유기체로 하여금 그의 環境(환경)에 適應하도록 하는데 있다고 보고, 의식의 흐름은 전체경험이 變化(변화)함에 따라서 變化(변화)한다고 주장한다. 행동주의는 인간을 연구대상으로 삼지 않으며 심리학의 goal(목표) 를 의식의 연구에서 행동을 예측하고 통제하는 것으로 變化(변화)시켰다.
구성주의는 인간의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사용한 주된 도구는 안을 들여다보는 내성법이었으나 기능주의의 인기로 인해 단명하였다.
학습심리 , 학습심리사범교육레포트 , 학습심리
학습심리,사범교육,레포트
레포트/사범교육
학습심리
Download : 학습심리(2).hwp( 64 )
학습심리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설명
순서
행동주의, 기능주의, 구성주의의 key point(핵심) 을 요약 비교해 보시오.
행동주의theory 은 학습을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의 비교적 영속적인 變化(변화)’로 定義(정의)하고 있다아 즉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추며 반복 연습에 의한 경험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신체적 피로, 약물로 인한 일시적 變化(변화)는 학습이라 할 수 없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theory
러시아 출신 생리학자 파블로프(1953)는 개를 대상을 소화체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개가 처음에는 음식물을 먹으면서 타액을 분비하였는데 나중에는 음식물을 보민만 해도, 나아가서는 experiment(실험)자의 발소리만 듣고도 타액이 분비되는 것을 관찰하게 된다 파블로프는 이러한 현상에 관심을 갖고 …(To be continued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