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方案과 발전책략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9 08:08
본문
Download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hwp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方案과 발전책략에 관한 연구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관통철도는 북한의 입장에서 보면 안보상 커다란 위협요인이 아니라 상당한 경제적 이익(통과세)을 누릴 수 있는 사업이…(drop)
순서
동북아물류중심지로의발전方案과발전책략에관한연구
레포트/자연과학
설명
,자연과학,레포트
다.동북아물류중심지로의발전방안과발전전략에관한연구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자연과학레포트 ,
1. 서론
2. 동북아 지역의 물류여건
1) 동북아 지역의 여객과 화물 수요
2) 동북아 지역의 물류시설 개발추이
3) 동북아 국가간 물류중심지 여건 비교
3. 우리나라의 물류중심지 여건진단
1) 長點(Strength)
2) 약점(Weakness)
3) 기회요인(Opportunity)
4) 위협요인(Threat)
4. 한반도의 단계별 국토통합에 따른 교통·물류여건의 變化
1) 제한적 교류시기
2) 화해와 협력시기
3) 통일단계
5. 향후 발전방향
1) 물류중심지 기능 측면
2) 물류의 공급과 서비스 체계 측면
3) 항만 및 배후수송
4) 물류기반시설 계획 및 개발
5) 공간정책 측면
1. 제한적 교류시기
◦ 일차적으로 제한적 교류시기에서는 북한의 입장이 배려될 것이므로 이미 개방을 표방한 나진/선봉지구와 금강산, 그리고 신의주 경제특구가 연결고리의 대상지역으로 대두될 것이다.
2. 화해와 협력 시기
◦ 두 번째 단계인 남북한이 화해와 협력의 시기에 접어들면, 우선적으로 협의해야 할 사업은 한반도 관통철도이다. china을 경유하는 남북간의 교류는 당분간 초보적인 교역에 머무를 수 밖에 없겠지만, 추후 단동-신의주를 함께 개발하는 공동지역개발의 수립도 가능할 것이다.
Download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방안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hwp( 33 )
동북아 물류중심지로의 발전方案과 발전책략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 현재 토지공사의 공단개발이나 기독교 연합회의 두레마을 조성과 같은 사업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남한기업의 투자와 함께 나진/선봉지구의 수송·물류거점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인프라에 대한 투자도 적극 지원될 필요가 있다아
◦ 제한적 교류시기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대상지역은 신의주이다. 신의주는 이미 북한이 china과의 변경무역 및 경제합작을 허용하고 있는 만큼, 남한기업의 china 단동을 경유한 진출이 가능하다. 이 단계에서 나진/선봉은 두만강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초국경적 협력지역인 만큼, government 나 민간차원에서 적극적인 진출이 시도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