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history,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01:39
본문
Download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pptx
이후 문종과 선조, 장렬왕후, 현종이 묻히면서 동오릉으로 불렸고, 단의왕후와 영조의 능이 만들어지면서 동칠릉으로 불리게 되었다.
_SLIDE_4_
1. 답사지 intro
(2)동구릉의 역사(歷史)
동구릉은 1408년(태종 8년) 태조 이성계가 세상을 떠나면서 처음 조성되기 처음 하였다. 조선의 초대 임금인 1대 태조부터 처음 해서 추존왕 문조(효명세자)까지 총 9개의 릉이 있어, 동구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history,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기타레포트 , 조선 왕릉 통해 살펴본 조선 동구릉 역사 능침공간 구조 능 유형 능 별 특징 비교
순서
레포트/기타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history,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
_SLIDE_1_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
_SLIDE_2_
목차
1. 답사지 intro
(1)동구릉
(2)동구릉의 역사(歷史)
2. 왕릉
(1)전체적 구조
(2)능침공간의 구조
(3) 능의 유형
(4)능 별 특징 비교
3. conclusion(결론)
_SLIDE_3_
1. 답사지 intro
(1) 동구릉
동구릉은 경기도 구리시 동구동에 위치한 조선시대 왕릉이다.
그리고 헌종과 문조(효명 세자가 나중에 얻은 칭호)가 안장되면서 19세기 중반부터 동구릉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_SLIDE_5_
2. 왕릉
(1) 왕릉의 전체 구조
홍살문
참도
정자각
참도: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깔아놓은 길. 중앙을 경계선으로 왼쪽은 신도, 오른쪽은 어도로 각각 신과 임금이 다니는 길
정자각: 정자 모양을 하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제향을 하는 건물
홍살문: 묘역의 입구라는 표시로
신성한 곳임을 알리기
위한 것
_SLIDE_6_
2.왕릉
(2) 능침공간의 개요
난간석: 봉분 보호. 기둥은 석주, 횡석주는 죽석, 죽석 중간에 바쳐둔 작은 기둥은 동자석주.
석호 석양: 호는 산과 능을 지켜주고 석양은 사악한 것을 물리치고 명복을 비는 뜻이 담겨 있따
추존한 왕릉에는 석호와 석양이 각각 2개씩 있어 일반 왕릉과는 차등을 둠
장명등: 무덤에 불을 밝혀 신들이 놀 수 있도…(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조선 왕릉을 통해 살펴본 조선,동구릉의 역사,능침공간의 구조,능의 유형,능 별 특징 비교.pptx( 57 )
조선,왕릉,통해,살펴본,조선,동구릉,역사,능침공간,구조,능,유형,능,별,특징,비교,기타,레포트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