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2 유아교육과 1학년 정신건강 C형)성격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6:02본문
Download : 성격이론들정리[2].hwp
즉, 보상받는 행동은 계속 강화되어 빈도가 높아지고 보상받지 못한 행동은 감소되거나 없어진다는 것이다. 2. 인지주의 성격theory(이론)
- 유아교육과 1학년 정신건강 C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C.S.Hall 지음, 이관용 외 옮김, 성격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1988. 2. Duane Schultz 지음, 정종진 외 옮김, 인간성격의 이해, 중앙적성출판사, 1997
발달이 외부적·environment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보는 견해이다.
설명
1. 행동주의 성격theory(이론)
[정신건강]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2 유아교육과 1학년 정신건강 C형)성격이론들을 비교 설명하시오
레포트 >
5. 융의 analysis(분석) 심리학적 성격theory(이론)
3. 프로이트의 정신analysis(분석) 적 성격theory(이론)
6. 아들러의 개인심리theory(이론)
행동주의 theory(이론)에서는 구체적인 행동의 alteration(변화) 를 전제로 하여 질적·양적 지식의 습득, 읽기·쓰기·셈하기와 같은 인지적 능력의 증진, 행동의 기초가 되는 신념과 가치관의 확립, 인간관계
행동주의 theory(이론)의 point은 보상과 강화이다. 보상 및 강화와 행동과의 관계는 연습의 법칙, 결과 의 법칙, 준비성의 법칙 등 세 가지 원리로 집약될 수 있다
4.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성격theory(이론)
1. 행동주의적 성격theory(이론)
순서
성격이론, 행동주의적성격이론, 발달주의적성격이론, 정신건강
행동주의 theory(이론)에서는 다른 심리학 theory(이론)처럼 행동의 Cause 에 주목하지 않고 나타난 행동 자체를 중시한다. 특히 environment의 영향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내적인 동기요인이나 인지적인 요소는 소홀히 하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통적인 학습theory(이론)인 행동주의의 이러한 제한점을 improvement(개선)하여 반두라는 사회학습theory(이론)에서 학습이 일어난 사회적인 상황을 강조하고 유아가 자신의 발달에 능동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
- 유아교육과 1학년 정신건강 C형 참고자료(資料)입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資料)] 1. C.S.Hall 지음, 이관용 외 옮김, 성격의 이론, 중앙적성출판사, 1988.
Download : 성격이론들정리[2].hwp( 50 )
![성격이론들정리[2]-7370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C%84%B1%EA%B2%A9%EC%9D%B4%EB%A1%A0%EB%93%A4%EC%A0%95%EB%A6%AC%5B2%5D-7370_01.gif)
![성격이론들정리[2]-7370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C%84%B1%EA%B2%A9%EC%9D%B4%EB%A1%A0%EB%93%A4%EC%A0%95%EB%A6%AC%5B2%5D-7370_02_.gif)
![성격이론들정리[2]-7370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C%84%B1%EA%B2%A9%EC%9D%B4%EB%A1%A0%EB%93%A4%EC%A0%95%EB%A6%AC%5B2%5D-7370_03_.gif)
![성격이론들정리[2]-7370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C%84%B1%EA%B2%A9%EC%9D%B4%EB%A1%A0%EB%93%A4%EC%A0%95%EB%A6%AC%5B2%5D-7370_04_.gif)
![성격이론들정리[2]-7370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10/%EC%84%B1%EA%B2%A9%EC%9D%B4%EB%A1%A0%EB%93%A4%EC%A0%95%EB%A6%AC%5B2%5D-7370_05_.gif)
- 다양한 자료(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Duane Schultz 지음, 정종진 외 옮김, 인간성격의 이해, 중앙적성출판사, 1997
다. 발달은 학습의 축적이라고 보기 때문에 발달에 있어서 후천적·environment적 요소를 중시한다. 즉, 유아의 바람직한 행동은 강화를 통해 행동빈도를 높이고 바람직하지 않는 행동은 감소시키는 행동 수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theory(이론)은 유아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지만, 유아의 모든 행동을 기본적인 단위나 단순한 요소들로 나누어서 이해하여 하기 때문에 발달의 총체적인 모습을 파악하기 힘들다는 문제점(問題點)을 갖는다. 이러한 관점은 로크의 백지설에 철학적 기반을 두고 있다 유아가 훈련과 자극에 의해 의도한대로 성장할 수 있다는 왓슨의 연구로 처음 되어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theory(이론), 손다이크의 자극-反應(반응) 결합설,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theory(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theory(이론) 등이 행동주의의 주요한 theory(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