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의 歷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15:31본문
Download : 우리나라_장애인_복지의_역사.hwp
,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의 역사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의 역사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의 歷史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우리나라,장애인,복지의,역사,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우리나라_장애인_복지의_역사.hwp( 94 )
우리나라_장애인_복지의_歷史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우리나라 장애인 복지의 歷史(역사)
1) 근대 이전
(1) 삼국시대
- 삼국시대의 구제 대상인 사궁(四窮)에 해당하는 사람들과 함께 장애인을 구제했다는
기록이 전해짐 → 일반인 구제에 장애인 복지를 포함하여 실시함
- 장애인을 독립된 명칭 없이 병자와 동일하게 처우하였고, 이들에 대한 구휼제도는
임시적, 사후대책적인 것이었음.
(2) 고려시대
- 불교의 影響으로 구제사업이 더욱 제도화되는 경향
- 삼국시대와 달리 맹인들을 위한 직업대책이 있었음
→ 고려 초부터 국가에서 복업을 과거제도에 포함시켜 복인을 선발하였는데 그 중
매복맹인(賣卜盲人)에 관한 기록이 있음
(3) 조선시대
- 유교사상의 影響으로 구휼사업이 제도적으로 이루어짐
- 장애인에 대학 대책
? 복업이 명과학(命課學)으로 개칭되어 잡학교육을 받음
? 관현맹인(管絃盲人)이 음악관련 직업을 가짐
? 정조 7년 불구 폐질자를 맹인, 절름발이, 문둥이, 간질, 벙어리, 꼽추, 고자 등으로 규정함 → 이 중 벙어리와 고자는 자력으로 해결하도록 하고 맹인은 복술(卜術)을, 절름발이는
그물 짜는 일 등을 통해 자립하도록 함.
2) 근대시대
(1) 조선 후기
- 한국 최초의 장애인에 대한 보호와 교육 : 고종 31년(1894), 미국인 선교사인
홀(Hall)여사가 평양에서 맹인학생을 집에서 보호하고 교육시킴
- 남자 맹인 학생을 위한 교육시설 설립 : 고종 34년(1897) 장로교 선교사 모훼(Moffer)가 평양에 설립함
(2) 일제 강점기
- 1905년에 세워진 경성 고아원을 1911년 조선 총독부가 접수함 → 제생원(濟生院)이라 칭함
- ‘조선총독부제생원규칙’이 제정되면서 제생원에 맹아부를 설치, 일부 맹아들을 수용, 보호하면서 초등교육과 직업교육을 실시함
- 1944년 ‘조선구호령’을 제정하여 65세 이상의 노쇠자, 13세 이하의 유아, 임산부와 함께 불구, 폐질, 상이, 기타정신 또는 신체의 장애로 노동을 못하는 자를 생활부조 대상자로 …(skip)
우리나라_장애인_복지의_역사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