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불상 > tropical5 | tropical.kr report

불상 > tropical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5

불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23:28

본문




Download : 불상.hwp





따라서 삼존을 모시는 경우에 왼쪽에 문수 보살, 오른쪽에 보현보살을 모시는 것이 원칙이지만 변형으로 관세음보살과 지장보 살을 협시보살로 모시는 …(생략(省略))

Download : 불상.hwp( 79 )



다. 협시하는 보살은 기본적으로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이다. 삼존불을 모시는 경우에 좌우의 협시불로 노사나불과 석가모니 불을 모시는데 두 부처님이 모두 보관을 쓴 보살의 모습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또는 주먹쥔 왼손을 오른손 전체로 감싼 모습도 많이 보인다.
그리고 좌상(坐像)일 경우에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손모양을 한 것이 통례이다. 부처님의 원래 모습인 진리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님으로서 손의 모양은 그림과 같이 두 주 먹을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아래위로 포개고 밑의 왼손 검지를 위의 오른손 주먹으로 감싼 지권인의 모습이다.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순서




불상_hwp_01.gif 불상_hwp_02.gif 불상_hwp_03.gif 불상_hwp_04.gif 불상_hwp_05.gif 불상_hwp_06.gif

부처님손모양 , 불상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불상


부처님손모양
불상의 일반적 형식
(1)비로자나불
(2)석가모니불
(3)아미타불
(4)약사여래불
(5)미륵존여래불

1. 석가모니 부처님의 근본 5인
(1) 선정인(禪定印)
(2)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
(3) 전법륜인(轉法輪印)
(4) 시무외인(施無畏印) · 여원인(原因)(與願印)
(5) 천지인(天地印)

2. 비로자나 부처님의 지권인(智拳印)

3. 아미타 9품인(阿彌陀九品印)

4. 계인(契印)


부처님의 존상을 보고 일견하여 어느 부처님이라고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은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고 절을 순례하여야 생기는 것이나 차후에 그러한 능력을 가지기 위하여 불상의 일반적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항마촉지인은 그림과 같으며 좌상의 모 양은 결가부좌한 좌석의 자세에서 오른손을 풀어 무릎을 얹고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양이다.
구체적으로는 존상의 실제 모양에 의하여 구별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머리에 쓰는 보관과 그 깨달은 진리를 상징하는 손의 모양(수인 : 手印 또는 인상 : 印相) 그리고 소지한 물건의 종류에 따라 각 존상의 특징이 있으므로 이를 說明(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시무외인은 중생의 우환과 고난을 해소시키는 수인이며 여원인(原因)을 중생의 소원을 이루게 하는 수인이다.
(1)비로자나불 :
삼신불(三身佛)이라하여 법신불, 보신불, 화신불이라는 용어가 있다 비로자나불은 법신불이기 때문 에 청정법신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
(2)석가모니불 :
입상일 경우에는 오른손은 시무외인, 왼손은 여원인(原因)을 하고 계신데 그림과 같이 시무외인은 손바닥 이 앞을 향하도록 가지런히 펴서 어깨까지 올린 모양이며, 여원인(原因)은 손바닥이 앞을 향하도록 하여 손 전체를 밑으로 늘어뜨린 수 인이다.
전체 41,25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