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政府(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measure(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16:12
본문
Download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방안_129442.hwp
(1)‘정보’의 concept(개념)
정보공개법 제2조 1호에 “정보”란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문서·도면·사진·필름·테이프·슬라이드 및 컴퓨터에 의하여 처리되는 매체 등에 기록된 사항이라고 定義(정이)하고 있따 정보란 기존의 종이 위에 기록된 공문서를 비롯하여 각종 매체, 특히 컴퓨터로 작성하여 기록한 전자화일도 정보공개제도의 대상정보로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2)정보관리체계 정비의 의무화
동법제5조제①항에 공공기관은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는 국민의 권리가 존중될 수 있도록 정보공개법을 운영하고 소관 관련법령을 정비하여야 하고, 동조제②항에서 공공기관은 정보의 적절한 보존과 신속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정보관리체계를 정비하여야 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따
(3)전자정보의 공개청구방법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는 자(이하 “청구인”이라 한다)는 당해 정보를 보유하거나 관리하고 있는 공공기관에 청구인의 이름·주소등록번호 및 주소, 공개를 청구하는 정보의 내용 및 사용목적을 기재한 정보공개청구서를 제출하도록 되어 있다(동법제8조①항). 이 정보공개청구서…(skip)
현행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령에서 전자적 정보공개와 관련된 규정만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정보’의 개념...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방안의약보건레포트 ,
한국의 정보공개제도
현행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령에서 전자적 정보공개와 관련된 규정만을 요점해 보면 다음과 같다.
...
Download :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방안_129442.hwp( 79 )
한국의 정보공개제도
순서
,의약보건,레포트
레포트/의약보건
다.
전자政府(정부) 구현을 위한 정보관리체계 정비measure(방안)
설명
(1)‘정보’의 관념






한국의 정보공개제도현행 우리나라의 정보공개법령에서 전자적 정보공개와 관련된 규정만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