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종묘와 창덕궁 > tropical4 | tropical.kr report

종묘와 창덕궁 > tropical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4

종묘와 창덕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08:52

본문




Download : 종묘와 창덕궁.pptx




국보 제227호.
_SLIDE_6_
종묘의 내부
정전 : 왕이 나와서 조회(朝會)를 하던 궁전
영녕전 : 왕과 왕비로서 종묘에 모실 수 없는 분의 신위를 모 시던 곳…(생략(省略))

Download : 종묘와 창덕궁.pptx( 52 )





다. 조선 태종 12년(1412)에 세웠으며 임진왜란 때 불 타 버린 것을 광해군 즉위년(1608)에 창덕궁을 다시 지으면서 문도 함께 세웠다. 창덕궁의 대조전은 희정당의 바로 뒤편에 일곽을 구성하고 있따
5. 낙선재 : 이 문은 창덕궁과 창경궁의 경계였다. 진선문에는 태완2년에 신문고를 설치를 하였으나 민원이 많아져 조정에서 문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진선문의 뜻이 선을 나아가는 문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낙선재는 원래 창경궁에 속하는 곳이었는데 지금은 창덕궁으로 되어 있다
_SLIDE_5_
종묘란
조선 시대에, 역대 임금과 왕비의 위패를 모시던 왕실의 사당.
세종 3년(1421)에 영녕전을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타 버리고 선조 41년(1608)에 다시 세운 것이 지금 종로 3가에 남아 있따
1996년에 유네스코 세계 文化(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의 앞쪽은 도로포장공사로 지면이 높아져 약간 묻혀 있다
진선문 :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이 있습니다.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이웃한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이라 불렀다. 조선 태종 12년(1412)에 세웠으며 임진왜란 때 불 타 버린 것을 광해군 즉위년(1608)에 창덕궁을 다시 지으면서 문도 함께 세웠다.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

_SLIDE_3_
창덕궁의 내부1,2
돈화문 : 돈화문은 조선시대 5대 궁의 하나인 창덕궁의 정문이다.

_SLIDE_4_
창덕궁의 내부3,4,5
3. 인정문, 인정전 : 인정문은 창덕궁의 중심 건물인 인정전의 정문이다. 진선문의 뜻이 선을 나아가는 문이라는 뜻입니다. 진선문에는 태완2년에 신문고를 설치를 하였으나 민원이 많아져 조정에서 문제가 되었다고 합니다.

_SLIDE_3_
창덕궁의 내부1,2
돈화문 : 돈화문은 조선시대 5대 궁의 하나인 창덕궁의 정문이다.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종묘와 창덕궁 , 종묘와 창덕궁기타레포트 , 종묘와 창덕궁




종묘와 창덕궁


종묘와 창덕궁



순서
종묘와,창덕궁,기타,레포트



설명


종묘와%20창덕궁_pptx_01.gif 종묘와%20창덕궁_pptx_02.gif 종묘와%20창덕궁_pptx_03.gif 종묘와%20창덕궁_pptx_04.gif 종묘와%20창덕궁_pptx_05.gif 종묘와%20창덕궁_pptx_06.gif
레포트/기타
_SLIDE_1_
종묘와 창덕궁

_SLIDE_2_
창덕궁이란
창덕궁은 1405년(태종 5년) 조선왕조의 이궁으로 지은 궁궐이다. 지금 있는 건물의 앞쪽은 도로포장공사로 지면이 높아져 약간 묻혀 있다
진선문 : 금천교를 지나면 진선문이 있습니다. 왕위를 이어받는 의식이 거행되던 곳으로, 정전인 인정전과 함께 조선왕조 궁궐의 위엄과 격식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따
4. 대조전 : 대조전은 왕비의 침소로, 임금의 정침 바로 뒤에 위치한다.

경복궁의 동쪽에 위치한다 하여 이웃한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이라 불렀다.

_SLIDE_4_
창덕궁의 내부3,4,5
3. 인정문, 인정전 : 인정문은 창덕궁...

_SLIDE_1_
종묘와 창덕궁

_SLIDE_2_
창덕궁이란
창덕궁은 1405년(태종 5년) 조선왕조의 이궁으로 지은 궁궐이다.
전체 40,798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