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9:09본문
Download :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pptx
왜냐하면 흉노족은 몽골고원만리장성 지대를 중심으로 활약한 유목기마민족으로 그들이 형성한 북몽고와 중앙아시아 일대에서 활동을 했으며 돌궐 또한 몽골고원에서 활동을 했기 때문이다
_SLIDE_6_
열하일기 속 돌궐
-수(隋)의 개황(開皇 수 문제(隋文帝)의 연호) 연간에 말갈(靺鞨 수ㆍ당 때의 만주족 칭호)이 고구려와 싸워서 지자 그 부장(部將 추장과 같음) 돌지계(突地稽)가 팔부(八部)를 거느리고 부여성(扶餘城)으로부터 그 부락을 통틀어 귀순(歸順)하였으므로…(투비컨티뉴드 )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감상서평레포트 ,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다.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Download :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pptx( 99 )
열하일기속에,보이는,이민족의,모습,감상서평,레포트
순서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_SLIDE_1_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_SLIDE_2_
목차
_SLIDE_3_
열하일기(熱河日記)란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중국(China) 기행문집이라고 설명(說明)할 수 있다 26권 10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규장각도서로 1780년(정조 4) 그의 종형인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을 따라 청(淸)나라 고종(高宗)의 칠순연(七旬宴)에 가는 도중 열하(熱河)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燕京)의 명사들과 교유하며 그곳 문물제도를 목격하고 견문한 바를 각 분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_SLIDE_4_
돌궐족(突厥族)
6세기 중엽부터 약 200년 동안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
_SLIDE_5_
열하일기속 돌궐
오늘 천하의 형세를 돌이켜 볼 때, 그 두려운 바는 항상 몽고에 있고 딴 오랑캐에 있지 않다. 그것은 무슨 까닭일까. 몽고의 강하고 사나움은 서번이나 회회국만은 못하나, 전장(典章)과 문물이 가히 중원(中原)...
_SLIDE_1_
열하일기속에 보이는 이민족의 모습
_SLIDE_2_
목차
_SLIDE_3_
열하일기(熱河日記)란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의 중국(China) 기행문집이라고 설명(說明)할 수 있다 26권 10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규장각도서로 1780년(정조 4) 그의 종형인 금성위(錦城尉) 박명원(朴明源)을 따라 청(淸)나라 고종(高宗)의 칠순연(七旬宴)에 가는 도중 열하(熱河)의 문인들과 사귀고, 연경(燕京)의 명사들과 교유하며 그곳 문물제도를 목격하고 견문한 바를 각 분야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황교문답후지中(黃敎問答後識)
▷여기서는 흉노와 돌궐 그리고 거란을 포함해서 모두 대국의 후예라고 칭하고 있다 이를 보아 대국의 후예란 몽고의 후예를 뜻한다고 생각된다된다. 그것은 무슨 까닭일까. 몽고의 강하고 사나움은 서번이나 회회국만은 못하나, 전장(典章)과 문물이 가히 중원(中原)과 서로 대항할 만하기 때문이다 유독 몽고는 땅이 서로 접하기가 백 리도 못 되는데, 흉노(匈奴)ㆍ돌궐(突厥)로부터 거란에 이르기까지 모두 대국의 후예이다.
_SLIDE_4_
돌궐족(突厥族)
6세기 중엽부터 약 200년 동안 몽골고원을 중심으로 활약한 투르크계 민족
_SLIDE_5_
열하일기속 돌궐
오늘 천하의 형세를 돌이켜 볼 때, 그 두려운 바는 항상 몽고에 있고 딴 오랑캐에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