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복지의 접근 모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0 21:11본문
Download : 학교사회복지의 접근 모델.hwp
개입의 초점 - 사회 · 정서적 문제에 맞추어 문제해결을 위해 아동이나 가족 또는 아동과 가족 모두에게 개별 사회사업서비스를 제공한다.
구체적 개입서비스 - 개별개입, 집단활동, 가정방문과 부모면담…(투비컨티뉴드 )
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학교사회복지의접근모델
학교사회복지의접근모델 , 학교사회복지의 접근 모델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학교사회복지의 접근 모델
순서
Download : 학교사회복지의 접근 모델.hwp( 57 )






1. 전통적 임상모델
2. 학교變化모델
3. 지역싸회 학교모델
4. 사회적 상호작용 모델
5. 학교-지역싸회-학생관계모델
6. 학교 연계 통합서비스 모델
1. 전통적 임상모델
1) 정의(定義) 적 정의(定義)
학생의 문제는 학생이나 가족 또는 둘 다 역기능적 어려움 때문에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지 않고는 학교교육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전제한다.
기본적으로 가족, 특히 부모-아동간의 문제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학업성취와 학교適應(적응)에 방해요인이 되는 사회 · 심리적인 문제가 있다고 확인된 개별 학생들과 필요한 경우 그 가족들에게 일차적 관심을 갖는다.
* 모델의 이론(理論)적 배경 - 정신analysis(분석) 학, 자아심리학, 개별사회사업이론(理論)과 방법
2) 개입과정과 내용
개입과정 - 문제를 가진 학생을 교사가 의뢰하거나, 학생이 자발적으로 학교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학교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가 직접 학생을 발굴하거나 발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