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개화기 시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4 05:49
본문
Download : 개화기 시가 연구.hwp
개화기 시가 연구
소위 근대라는 이름의 제국주의의 충격이 닥쳐왔을 때 전개된 한국의 개화기의 연구방법은 다음 두 가지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개화기가사 : 개화기에 나타난 모든 가사
․ 창가(唱歌) :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인 각성과 조국의 자주 독립에 대한 열망을 서양식 창가조(調) 로 읊은 시가(詩歌)형식.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신태식 「신의관창의가」(1920) 등
문명개화의 시대적 필연성과 신교육 예찬, youth들의 진취적 기상 고무
개화기 시가 연구
최남선「경부철도가」(1904). 「한양가」(1905)「태백산가」(1908)「세계일주가」(1914), 최병현「독립가」, 이용우「애국가」등
2) 내용상 분류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4. 의병의 창의가
최제우 「교훈가」(1880), 이중원「동심가」(1896), 김영철「애국가」(1896) 이필균「애국하는노래」(1896)
1. 개화가사
② 후렴구의 삽입(분절체), 연구분(분연체)
개화 가사와 신체시를 연결하는 구실
개화기 시가 연구
.
창가
Download : 개화기 시가 연구.hwp( 59 )
전통시가의 한 형식인 4.4조의 율격에 개화기의 새로운 사상을 담은 시가
1. 애국가류
개화가사, 창가의 단계를 거쳐 종래의 정형적 시형을 탈피하여 자유로운 율조로 새로운 사상을 담으려했던실험적, 과도기적 시가
2. 개화가사류




․ 개화가사 : ‘개화를 노래한 가사’
.
③ 4.4조의 율격에 국한되지 않고, 3.4조 혹은 4.3조의 변이율도 구사
- 개화기 문학이라고 하면 대략적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엽, 서구충격에 의해 나타난 문학상 에 있어서의 법률양식을 편의상 개화기 가사로 규정할 수 있다
소년의 기개와 포부 등 민족주의 선양과 계몽이 주된 내용
정형시에서 자유시로 넘어가는 과도기 형태의 시
내용
순서
한계: 장르적 차원에서는어떤 통일성의 정형시적 규범을 지니고 있지 않지만 개별 작품의 경우에는 그 나름의 정형성을 지님 「해에게서 소년에게」
첫째. 한 ․ 중 ․ 일 등 동양 삼국의 유교 극복방식이라는 일반적인 시야를 가져야 한다.
① 10행 내외의 짧은 형식
작품
Ⅰ. 개화기가사의 분류
개화기 시가 연구
형식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신체시
가사와 창가의 징검다리 역할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개화기 시가 연구
3. 신체시
.
1) 형식상 분류
최남선「해에게서 소년에게」(1908)
관념
「구작삼편」.「꽃두고」(1909),
설명
다.
개화가사
이전의 개화가사가 율격적으로 변모한 것으로 기독교 찬송가나 신교육 기관을 통해서 보급된 서양음악 등과 결합, 형성된 노래로 가창을 전제로 함
2. 창가
의의
정형성을 탈피하여 자유율을 시도
애국계몽운동, 자주독립, 부국강병이 주류를 이룸
Ⅱ. 창가 ․ 개화가사 ․ 개화기 가사
이광수 「우리영웅」(1910)등
6.4, 7.5, 8.5조의 다양한 율조
3. 사회등란의 비판적 가사류
한계 : 개인적 정서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여 예술성을 추구하기 보다는 집단적, 교훈적인 내용을 관념적으로 표현으로 그침
둘째. 첫째의 바탕 위에서 한국적 특징을 검토, 해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