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문화고전강독 A+ 에세이 -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우리 > tropical3 | tropical.kr report

문화고전강독 A+ 에세이 -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우리 > tropic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3

문화고전강독 A+ 에세이 -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우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4:12

본문




Download :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hwp




그들은 길에서든 버스에서든 지하철에서든 스마트폰에 몰두해있다. 인문고전 책 중에서 특히 문화와 관련한 고전 책들을 수업에서 읽고, 수업에서 읽었던 모든 책들을 기반으로 선정한 하나의 주제에 사고를 엮어내어 글을 써야하는 어려운 과제를 내는 과목이죠.. 시험도 마찬가지여서 저도 그렇고 많은 친구들이 힘들어하던 과목입니다. 스마트폰 안에서의 만남을 중시하면서 현실보단 가상공간의 대인관계 형성을 보다 추구하고 이를 더 편안하게 받아들이면서 실생활에서의 사회성 발달의 저해를 야기할 수 있다.
다.
2.1. 스마트폰의 메시지

3. 結論(결론)
1. 서론 : 스마트폰 시대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의 융합으로 편리하면서도 이동성, 연결성, 개인화, 혼종성, 다목적성 등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한이 적어 무척 매력적이다. 사람들과 모여 식사를 할 때 각자의 스마트폰을 테이블 한 가운데 모아 놓고, 가장 먼저 자기 폰을 가져가 확인하는 사람이 식사비를 지불하는 ‘폰 스택(phone stack)게임의 출현도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세계적 흐름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심지어 일상을 소재로 하는 웹툰에서는 스마트폰을 하다가 공부를 못하고 시간을 다 날려버린다는 내용은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여러 책들의 내용을 잘 섞어내어서, 참고하시기에 좋을 것입니다.

문화고전강독 A+ 에세이 -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우리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9327_01.jpg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9327_02_.jpg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9327_03_.jpg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9327_04_.jpg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9327_05_.jpg

순서
이런 맥락 속에서, 최근에는 ‘퓨빙(Phubbing)이라는 단어도 생겨난 것도 주목할 만 하다.
인문고전 책 중에서 특히 문화와 관련한 고전 책들을 수업에서 읽고나서 , 수업에서 읽었던 모든 책들을 기반으로 선정한 하나의 주제에 사고를 엮어내어 글을 써야하는 어려운 과제(problem)를 내는 과목이죠.. 시험도 마찬가지여서 저도 그렇고 많은 친구들이 힘들어하던 과목입니다.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큰 문제가 사회 속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렇게 강력한 중독을 이끌어내는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는 강력한 ‘메시지’로써, 사용자인 우리의 뇌 구조 마저도 바꿔버릴 수 있게 되는데요, 미디어의 사용자로서의 우리들은 미디어의 메시지를 제대로 이해해야함을 말하면서, 미디어 수용자의 바람직한 자세를 함께 논합니다. 스마트폰 자체도 날이 갈수록 발전하며, 나아가 스마트폰보다 더 복합적이고 기능성이 뛰어난 미디어가 나올 것이다. 또한 ‘팝콘브레인(Popcorn Brain)이라 불리는 뇌기능 장애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인지 최근에는 횡단보도 주변에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라는 표지가 종종 보인다. 분량이 많은 소논문을 작성한 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대학 생활에서 작성했던 에세이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세이입니다.

살라맛!

4. 참고한 문헌


분량이 많은 소논문을 작성한 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대학 생활에서 작성했던 에세이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에세이입니다. 지금과 같은 세계적인 스마트폰 중독의 시대에 그것의 속성과 effect, 즉 메시지를 읽어내는 것과 그것에 더 나아가 미디어 자체가 메시지이고 그런 메시지를 읽어낼 수 있는 자세를 가질 수 있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 그런 미디어의 메시지는 더욱 강력할 것이며, 그 전에 미리 미디어에 대처하는 자세를 익히지 못한 수용자에겐 제어할 수 없는 변화를 가져다줄 것이다.

Download : 스마트폰 시대와 미디어 수용자로서의.hwp( 73 )



A+ 성적을 받은, 문화콘텐츠학과 전공 필수 과목인 <문화고전강독>에서 작성했던 기말 에세이입니다.







문화고전,스마트폰,미디어,미디어의 이해,기술복제시대,계몽의 변증법,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문화고전강독,미디어 수용자


2.3. 수용자의 자세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9 페이지에 내용을 꾹꾹 눌러 담아냈습니다. 이러한 중독의 문제는 스마트폰을 오랜 시간동안 사용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내성의 증가로 인해 더 쉽게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의 메시지와 그로 인한 뇌 구조의 변화 가능성, 그리고 이런 상황 속에서 미디어 수용자로서의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논의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다. 실제로 친구들과 같이 있으면서도, SNS나 메신저를 통한 소통에 집중하는 것이다. 앞에 오는 사람과 차량, 신호도 잘 살피지 않고, 심지어 운전 중에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9 페이지에 내용을 꾹꾹 눌러 담아냈습니다. 바닥에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도로표지판을 설치하기도 한다. 최근 주위를 둘러보면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스마트폰 중독은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문제를 넘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의 문제도 초래한다..;; 저는 평소에 독서 습관을 들여놓고, 고전도 좋아하는 편이라 그나마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디어의 수용자로써의 우리들은, 우리가 사용하는 미디어의 influence 내지는 메시지를 이해하지 않은 채 무의식적으로 그 미디어에 젖어 있기만 해서는 안 된다.


저는 평소에 독서 습관을 들여놓고, 고전도 좋아하는 편이라 그나마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1. 서론 : 스마트폰 시대
이 과정에서 여러 책들의 내용을 잘 섞어내어서, 참고하시기에 좋을 것입니다.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큰 문제가 사회 속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죠.
2. 본론
이렇게 강력한 중독을 이끌어내는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는 강력한 ‘메시지’로써, 사용자인 우리의 뇌 구조 마저도 바꿔버릴 수 있게 되는데요,


2.2. 신경가소성과 뇌 구조의 변화
이는 현대 사회의 모습 중에서 분명 문제가 있는 부분인데, 그 문제의 핵심은 바로 ‘중독’과 그로 인한 문제들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IT未來(미래) 학자이자 작가인 니콜라스 카는 ‘스마트 기기로 통칭되는 기술의 발전이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했다. 감사합니다!

설명

우리는 대부분 미디어의 제작자이기 보다는 수용자이다. :)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의 이해>에서 나오는 강력한 문장인, “미디어는 메시지다”를 큰 축으로 하여, 지금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스마트폰 시대에서 우리가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마셜 맥루언의 <미디어의 이해>에서 나오는 강력한 문장인, “미디어는 메시지다”를 큰 축으로 하여, 지금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스마트폰 시대에서 우리가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 합니다. :)

--------------------

A+ 성적을 받은, 문화콘텐츠학과 전공 필수 과목인 <문화고전강독>에서 작성했던 기말 에세이입니다. 그래서 에세이를 작성할 때에도, 수업에서 다뤘던 모든 책들의 내용을, 에세이 주제를 풀어나가는 데에 사용한 것뿐만 아니라, 평소에 읽어두었던 책들 중에서 연관이 깊은 책들의 내용도 함께 엮어내서 작성한 에세이입니다. 또한 우리는 스마트폰의 제작자이기 보다는 수용자이다.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지 않으며 습관적으로 의존하고, 스마트폰을 자주 확인하지 않으면 불안해하기도 한다. 또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으로 인한 독서량의 감소, 시간의 낭비, 학업과 일에서의 능률 저하와 같은 문제나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노출, 새로운 디지털 기기에 대한 집착이라는 경제적 문제 등도 나타날 수 있다. 그들은 게임을 하거나 영상을 보거나, SNS, 메신저 등을 이용하면서 주변에는 무감각하다. 정신적인 문제로는 강박증, 불안, 편집증, 우울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퓨빙’이란 전화기의 ‘폰(phone)’과 무시하다는 뜻인 ‘스너빙(snubbing)’을 합친 말로, 주변 사람을 신경 쓰지 않은 채 스마트폰에 빠져 있는 현상을 말한다. 우선 신체적인 문제로는, 눈의 피로로 인한 안구 건조증, 손목 터널증후군과 거북목 증후군, 근육통 등의 발생을 넘어서 뇌의 휴식 부족으로 인한 창의력의 감소와 집중력, 사고전환능력, 판단 능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미디어의 사용자로서의 우리들은 미디어의 메시지를 제대로 이해해야함을 말하면서, 미디어 수용자의 바람직한 자세를 함께 논합니다. 하지만 그 만큼 이용자들을 중독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는 problem(문제점)을 갖는다.
그래서 에세이를 작성할 때에도, 수업에서 다뤘던 모든 책들의 내용을, 에세이 주제를 풀어나가는 데에 사용한 것뿐만 아니라, 평소에 읽어두었던 책들 중에서 연관이 깊은 책들의 내용도 함께 엮어내서 작성한 에세이입니다.
전체 40,9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