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국어 음운 규칙 > tropical3 | tropical.kr report

국어 음운 규칙 > tropic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3

국어 음운 규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8 18:11

본문




Download : 국어 음운 규칙.hwp




이는 ‘흑, 닥’으로 실현되어야 맞는다. 예를 들어 ‘독립→ 독닙→ 동닙’을 들 수 있다

(1) 변이 및 움라우트
‘변이’란 어떤 말소리에 인접한 말소리가 영향을 끼쳐 alteration(변화) 된 현상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러한 alteration(변화) 로 어떤 언어의 역사(歷史)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진행되면서 음…(省略)

다. 그리고 역행 동화는 예측 동화라고도 하며 한 음이 뒤따르는 다른 음의 영향으로 바뀌는 경우를 말한다.
음운규칙의 개념(槪念)과 국어 음운 규칙에 대해서 說明(설명) 했습니다. 예를 들어 아비[a+pi] → [abi]에서 유성음 간의 무성음 p가 유성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비인접 동화는 격음 동화라고 하며 alteration(변화) 에 관계되는 음들이 서로 인접하지 않고 움라우트 현상이나 모음 alteration(변화) 현상이 이에 속한다.

4. 동화(assimilation)
서로 다른 두 음이 같아지거나 비슷해지는 과정, 결과를 말하고 여러 가지 동화에 마주향하여 알아보면 우선 인접 동화는 병렬 동화라고도 하며 바로 옆에 있는 음을 alteration(변화) 시킬 때 쓰인다. 국어음운규칙 , 국어 음운 규칙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국어 음운 규칙.hwp( 12 )


설명

국어음운규칙






국어%20음운%20규칙_hwp_01.gif 국어%20음운%20규칙_hwp_02.gif 국어%20음운%20규칙_hwp_03.gif 국어%20음운%20규칙_hwp_04.gif


3. 중화
우리말의 음절의 끝소리에 올 수 있는 자음은 7개로 한정되어 있다 ‘ᄀ, ᄂ, ᄃ, ᄅ, ᄆ, ᄇ, ᄋ’이 그것이다.


국어 음운 규칙


순서

음운규칙의 개념과 국어 음운 규칙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이들 이외의 자음을 끝소리로 가진 형태소가 단독으로 발음될 때 그 자음은 대표음으로 실현된다 ‘낟, 낫, 낮, 낯, 낱’ 등이 모두 대표음인 ‘낟’으로 실현되는 예가 그것이다. 이같이 대립되던 음소들이 특정 environment에서 그 대립을 상실하는 일을 중화라 한다. 끝소리에 둘 이상의 자음이 있을 때에도 실제 발음되는 대표음이 정해져 있다 가령, `흙, 닭`이 방언에서 ‘흘, 달’로 발음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예를 들어 ‘천리 → 철리, 걷너다 > 건너다’ , ‘올창이 > 올챙이’를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순행 동화는 앞선음이 뒤에 오는 음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인데 예를 들면 ‘찰나 → 찰라, 믈 > 물’, ‘사 > 사람’를 들 수 있다 상호 동화는 연합 동화라고도 하며 두 음이 서로 영향을 끼쳤을 경우이다.
전체 40,9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