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 tropical3 | tropical.kr report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 tropic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3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6 15:22

본문




Download :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hwp





② 엽관주의를 지양하고 직업공무원제와 …(To be continued )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 정치 행定義(정의) 관계에 대하여 정치행정이원론과 정치행정일원론 그리고 새이원론과 새일원론을 살펴보고 내가 생각하는 가장 바람직한 행정과 정치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1) W. Wilson : 행정학의 창시자인 Wilson은 1887년 ‘행정이 연구’라는 논문에서 「행정이 분야는 사무의 분야이며 행정은 정치의 고유영역밖에 존재하고 행정문제는 정치문제가 아닐것이다.」라고 주장.
(2) L.D.White : 행정이란 권력현상이 아니라 관리현상이라는 전제하에 행정에 관한 연구는 관리적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행정학 입문’에서 강조.
(3) 기타학자 : Gurick(POSDCORB과 행정에서의 절약과 능률을 강조), Willoughby, Pfiffner등

• 정치행정이원론이 행정에 미친 effect(영향) 과 한계
(1) 공헌
① 독자적인 과학으로서 행정학 성립ㆍ발전에 기여했다.
(3) 행정학의 독자성 확보를 위한 노력: 정치로부터 행정을 분리하여 독자적인 행정학을 정립하고자 하는 학자(W. Wilson 등)들의 노력.
(4) 행정기능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전文化: 행정기능의 양적 확대와 질적 전文化에 대응하기 위한 행정개혁운동의 전개
* 1881년 전국공무원제도개혁연맹(Curitis가 주도한 민간단체), 1906년 뉴욕시정연구회, 1910년 절약과 능률에 관한 대통령위원회(Taft 대통령이 설치한 행정개혁위원회)등.


• 정치행정이원론의 내용
행정을 정치적 성격(정책결정 등 가치판단)이 없는 순수한 관리ㆍ기술현상(인력과 물자를 관리하는 내부적인 관리행위)으로 파악한다.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 정치 행정의 관계에 대하여 정치행정이원론과 정치행정일원론 그리고 새이원론과 새일원론을 살펴보고 내가 생각하는 가장 바람직한 행정과 정치의 관계에 대하여 정리했습니다.

행정과%20정치와의%20관계_hwp_01.gif 행정과%20정치와의%20관계_hwp_02.gif 행정과%20정치와의%20관계_hwp_03.gif
다.
(2) 과학적 관리론의 effect(영향) : 사기업의 경영합리화운동인 과학적 관리론은 행정을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비권력적ㆍ관리적 현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했다. ,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법학행정레포트 ,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hwp( 12 )




설명

행정과 정치와의 관계

1. 의의

2. 정치행정이원론
• 정치행정이원론의 성립배경
• 정치행정이원론의 내용
• 정치행정이원론이 행정에 미친 effect(영향) 과 한계

3. 정치행정일원론
• 정치행정일원론의 성립배경
• 정치행정일원론의 내용

4. 새이원론과 새일원론
• 새이원론(행정행태론)
• 새일원론(발전행정론과 신행정론)
• 새이원론의 재등장(신공공관리론 ; 거버넌스)

5.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정치ㆍ행정관계의 모습은?


2. 정치행정이원론
• 정치행정이원론의 성립배경
(1) 엽관주의의 폐단극복과 실적주의의 확립: 엽관주의의 drawback(걸점)인 행정이 낭비와 비능률로부터 행정이 전문성과 기술성 그리고 정치적 중립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부패된 정치로부터 행정을 분리ㆍ독립시켜 실적주의(1983년 Pendleton법 제정)를 확립할 당위성이 대두되었다.
전체 40,90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