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식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12:27
본문
Download : 북한의 식생활.hwp
또한 감자, 조, 옥수수, 녹두, 메밀 등의 잡곡을 많이 이용하고 부식 재료도 단고기(개고기), 꿩, 토끼, 메추리고기, 오리고기, 게사니(거위), 잉어, 붕어 등 퍽이나 다채롭다. 화학 조미료를 적게 쓰고 오밀 조밀한 장식보다는 시원 시원 큼직하고 소박하게 만드는 것이 정감있고 구수하다. 맛 또한 개운하고 담백한 것이 조미료에 식상한 우리의 입맛에 신선한 충격이 될 것이다. 더구나 비료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북한은 지난 시기 토양조건과 기후조건을 무시하고 모든 지방에서 일률적으로 강냉이를 심는 농…(drop)



설명
북한의 식생활에 대하여 설명한 자료 북한의식생활3 , 북한의 식생활의약보건레포트 ,
북한의 식생활에 대하여 설명한 reference(자료)
다.
요즘 북한의 함경남도 장진군이 양강도 대홍단군에 이어 제2의 감자 농사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아 김일성 주석 사후 대규모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가 잇따르면서 식량난이 심화되었는데 물이 부족하니 전력을 생산할 수도 없고, 발전(發電)을 못하니 관개(灌漑)용 펌프를 작동할 수도 없었다.레포트/의약보건
순서
Download : 북한의 식생활.hwp( 37 )
북한의식생활3
북한의 식생활
,의약보건,레포트
요즘 남한 음식은 나날이 서구화 되어가고 인스턴트 음식이 그 자리를 차지해가고 있다아 그러나 북한의 음식들은 아직도 전통을 많이 간직하고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