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사회복지정책의 分析(분석)틀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2-29 13:55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hwp
이4가지 분석 대상을 각각 할당체계(급여의 대상),급여체계(급여의 내용), 전달체계, 재원체계라고도 한다.
사회복지정책급여는 자산조사에 의해 결정되는 개인적 욕구와 필요를 토대로 하여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인식. 필요한 사람에게 제한적으로 급여를 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비용의 절약이 있어서 비용효율적인 가치가 발생함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수급자격:
급여종류:
개인 또는 가족의 자산상태에 따른 욕구
사회적공헌/사회적으로 부당하게당한손실에 대한보상
대상체계
․ 누가 급여를 지불했는가?
전달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 Gilbert와 Specht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질문으로 사회복지급여에 대한 본질적인 성격을 평했다.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할당
․ 무엇을 받는가?
설명
레포트 > 기타
(finance)
Gilbert와 Specht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질문으로 사회복지급여에 대한 본질적인 성격을 평했다. 이 과정에서 급여를 받지 않는 사람들과의 분리와 낙인(stigma)이 발생할 수 있다. 이 4가지 분석틀은 사회복지 정책이 무엇을(급여의 내용), 누구에게(급여의 대상), 어떻게(재원과 전달체계)제공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다.
선택의 대안
공공재원(사회보험, 과세), 민간재원(사용자부담, 민간모금 등),
민간행정가
전문가 판단에 의한 진단적 差別
사회복지정책급여는 일종의 사회권으로서 모든 국민이 보편적으로 누릴 권리라는 관점이다. ․ 누가 급여를 받는가? ․ 무엇을 받는가? ․ 어떻게 급여를 받는가? ․ 누가 급여를 지불했는가? 길버트와 스펙트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통해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급여대상, 재원, 전달체계, 급여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② 선별주의(선택주의)
선택의 차원
사회복지정책의 分析(분석)틀
순서
(allocation)
[복지] 사회복지정책의 分析(분석)틀
․ 어떻게 급여를 받는가?
1. 급여의 대상(자격조건)
전달방법:
급여
사회, 복지, 정책, 분석,틀
재정마련방법:
다. 선택의 차원 의미 선택의 대안 할당 (allocation) 수급자격: 대상체계 귀속적 욕구 사회적공헌/사회적으로 부당하게당한손실에 대한보상 전문가 판단에 의한 진단적 차별 개인 또는 가족의 자산상태에 따른 욕구 급여 (benefits) 급여종류: 급여체계 현금, 사회서비스, 물품, 신용(변제), 물품교환권(증서), 기회,권력등 전달 (delivery) 전달방법: 전달체계 중앙집권 또는 지방분권, 복수서비스 또는 단속서비스 동일건물 내 위치 또는 다른 건물에 위치, 협력관계 또는 대화단절 , 전문가 의존 또는 소비자 및 준전문가 의존, 공공행정가 또는 민간행정가 재정 (finance) 재정마련방법: 재정체계 공공재원(사회보험, 과세), 민간재원(사용자부담, 민간모금 등), 공공과 민간재원의 혼합
Download : 사회복지정책의 분석틀.hwp( 40 )
공공과 민간재원의 혼합
길버트와 스펙트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통해 사회복지정책을 分析(분석)하는 기준으로 급여대상, 재원, 전달체계, 급여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이 4가지 分析(분석)틀은 사회복지 정책이 무엇을(급여의 내용), 누구에게(급여의 대상), 어떻게(재원과 전달체계)제공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다 이4가지 分析(분석) 대상을 각각 할당체계(급여의 대상),급여체계(급여의 내용), 전달체계, 재원체계라고도 한다.
(benefits)
귀속적 욕구
1)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중앙집권 또는 지방분권, 복수서비스 또는 단속서비스
전달체계
급여체계
동일건물 내 위치 또는 다른 건물에 위치, 협력관계 또는 대화단절
현금, 사회서비스, 물품, 신용(변제), 물품교환권(증서), 기회,권력등
․ 누가 급여를 받는가?
재정체계
재정
(delivery)
, 전문가 의존 또는 소비자 및 준전문가 의존, 공공행정가 또는
① 보편주의
의미
모든 복지 급여에 대한 수급자격을 모든 국민에게 평등하게 부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복지 수혜자격과 기준을 균등화하여 복지 서비스 수급자들이 그 어떤 낙인감, 열등감, 굴욕감도 갖지 않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