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지도자론C]하우스의 경로-goal(목표) theory(이론)에 근거하여 지도자 행동유형 판단과 적합한 지도자상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07 03:57
본문
Download :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에 근거하여 지.hwp
이대웅, 지도자의 戰略과 리더십, 혜진서관, 1999
6. 적합한 리더십 스타일의 선택
성공적 조직은 성공적이지 못한 조직과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어떤 주요한 속성 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동태적이고 효과(效果)적인 리더십이다. 4. 리더의 행동
Ⅰ. 서 론
이러한 일련의 주장들의 공통 요인을 축약해 보면 리더십이란 어떤 주어진 상황 하에서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해 일련의 노력을 가하는 개인이나 집단에 影響을 미치는 과정이라고 생각할 수 있따
스질라기와 웰레스(andrew D. Szilagy, Jr & Marc J.Wallace, Jr)는 Andrew D. Szilagy, Jr. & Organizational behavior & Performance, 3rd ed. Scortt Foresman & Co.,Glerview, Illinois, 1983.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Ⅰ. 서 론
페터드뢰제 외, 김종영 역,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이론(理論)에 근거한 조직 또는 집단의 지도자 행동유형
Ⅳ. 결 론
2. 하위자의 행동유발 요인(House & Mitchell. 1974)
4) 성취지향적 리더
리더십이란 집단 구성원으로 하여금 특정목표(goal)를 지향하게 하고 그 목표(goal)달성을 위해 실제 행동을 하도록 影響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 한다(R. M. Stogdill)
설명
이상오, 리더십 역사(歷史)와 展望,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2.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
Download :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에 근거하여 지.hwp( 26 )
[참고자료(data)]
EBS 독학사연구회 편저, 경영조직론, 지식과未來, 2009
박민생 외, 조직론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6
하우스의 경로-목표이론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원, 학교, 사업장, 가정, 병동)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하여 보시오. [참고자료] 이상오, 리더십 역사와 전망, 연세대학교출판부, 2008 이대웅, 지도자의 전략과 리더십, 혜진서관, 1999 박민생 외, 조직론의 이해, 형설출판사, 2006 EBS 독학사연구회 편저, 경영조직론, 지식과미래, 2009 페터드뢰제 외, 김종영 역,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 이론(理論)의 槪念, 목표(goal), 의의
경로목표,경로목표이론,하우스경로목표이론,하우스경로목표,리더십,리더쉽,간호지도자론c,간호지도자론
7.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 이론(理論) 강점, 한계, 응용





1) 지시적 리더
하우스의 경로-goal(목표) theory(이론)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예: 병원, 학교, 사업장, 가정, 병동)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하여 보시오.
리더십 이론(理論)은 크게 속성 이론(理論), 행동이론(理論), 상황이론(理論) 순으로 발전해 왔는데, 경로-목표(goal)이론(理論)은 상황이 리더십을 결정한다는 상황이론(理論) 중 하나이다.
3) 참가적 리더
[간호지도자론C]하우스의 경로-goal(목표) theory(이론)에 근거하여 지도자 행동유형 판단과 적합한 지도자상 비교
쿤쯔와 오도넬(Harold Koontz & Cyril ODonnell)은 “리더십은 하나의 공동 목적을 성취하는데 다른 사람이 따르도록 影響을 미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순서
2) 지원적 리더
5. 상황적 변수
탄넨바움(Robert Tannenbaum), 웨슐러(Irving R. Weschler), 매서릭(Fred Massarik)은 “리더십은 어떤 상황 속에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하여 특정 목표(goal)를 성취하도록 지향시키려고 행사되는 대인적 影響력”이라고 定義(정의)하고 있따
3. 이론(理論)의 가정과 기반
“리더십은 목적달성을 위한 다른 사람들에게 影響을 미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둘 이상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는 과정”이라고 定義(정의)하고 있으며 테리 Hersy & Blanchard : op. cit.
Ⅲ.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이론(理論)에 근거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조직 또는 집단의 지도자 행동유형을 판단하고, 그 조직의 상황에 가장 적합할 지도자상과 비교
는 “리더십은 집단목표(goal)를 위해 자의적으로 노력하도록 사람들에게 影響력을 행사하는 일련의 활동”이라고 定義(정의)하였다.
리더십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 목표(goal)달성을 위한 공헌 유도 및 잠재 능력을 발휘하도록 影響력을 행사, 조직의 성과 달성 및 유효성 증대에 기여한다.
[참고 reference(자료)]
Ⅱ. 하우스의 경로-목표(goal)이론(理論)(R. J. House’s Path-goal theory)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