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역사 교사의 교류내역과 바람직한 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4:31본문
Download : .hwp
여기에는 2001년에 한국과 일본의 여론을 들끓게 했던 새 역싸교과서’(후소샤 간행)의 문부과학성 검정 통과가 큰 轉機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아
Ⅲ. 한*일간의 역싸교사 교류는 어떠한 성과를 거두고, 어떠한 課題를 제기하고 있는가?
Ⅱ. 한*일간의 역싸교사 교류는 어떻게 이루어져왔나?
다. 그리고 한*일 역싸 교류에 참가하는 교사들도 동호인 성격의 모임에서 전국 단위의 교사조직으로 그 규모가 확대되었다.설명
Ⅳ. 한*일간의 역싸교사 교류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일까?





한일역사 역사교사 공통역사교재 /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일 역사 교사의 교류내역과 바람직한 방향
부록 : 「한*일의 역싸교육 교류와 국제이해의 시도」(石渡延男)
한일역사 역사교사 공통역사교재 / ()
Ⅰ. 머리말
Download : .hwp( 31 )
순서
한일역사 역사교사 공통역사교재
최근 한국과 일본의 역싸교사 교류가 활기를 띠고 있다아 1990년대에는 한*일 양국의 역싸교사 또는 사회교사들이 수업의 내용과 결과를 서로 introduce하며 토론하는‘수업instance(사례)실천보고’ 정도의 교류가 이루어졌는데,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한*일공통역싸교재’의 발간을 목표(goal)로 내건 교류로까지 농도가 짙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