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entalism과 Occidentalism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0:56본문
Download : Orientalism과 Occidentalism.hwp
순서
대안적 가능성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전성우, 앞의 글, 61 쪽.
베버는 세계사에 대한 문제의식의 근본적인 전환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는 바, 이 전환은 비서구적인 文化들의 세계사적인 후진성을 증명하려는 것이 아니라, 서구의 문명을 그것이 가진 일시적인 승리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바로 이 승리 때문에 오히려 문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는 근대 서구인들이 경험한 합리성의 특정한 형태가 사회적 합리성의 유일한 형태라고 보지 않았다. 베버는 한편으로는 서구적인 ‘인간상’의 특이성, 즉 칼빈적인 ‘직업인간’의 내세적인 금욕에서 출발하여 자본주의적-관료적 ‘전문인간’으로의 발전의 길이 지닌 특이성을 설명(explanation)하면서, 동시에 그는 다른 문명권의 생활양식과 인간유형들을 규명하고자 했던 바, 왜냐하면 이들은 ‘인간성’의 대안적인, 그러나 지금까지는 억압된 발전가능성들을 체현하고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일것이다 위의 글, 28-29 쪽.
베버는 근대 자본주의의 본질을 합리성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근대 서구인들이 경험한 합리성의 특정한 형태가 사회적 합리성의 유일한 형태라고 보지 않았다. 막스 베버 著(梁會水 譯), ꡔ社會科學論叢ꡕ (乙酉文化社,…(省略)
,경영경제,레포트






대안적 가능성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 Orientalism과 Occidentalism경영경제레포트 ,
Orientalism과 Occidentalism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Orientalism과 Occidentalism.hwp( 83 )
설명
다. 베버는 동양문명사에 대해 서양문명이 경험해 보지 못한 하나의 ‘대안적 길’로서 관심을 가졌다. 동시에 그는 서구인들이 걸어 온 합리화의 경로가 세계적 보편성을 띠는 것이라고 믿지도 않았다....
대안적 가능성을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는 근대 서구인들이 경험한 합리성의 특정한 형태가 사회적 합리성의 유일한 형태라고 보지 않았다. R. 브루베이커 著(羅濟民 譯), ꡔ合理性의 限界ꡕ (法文社, 1985), 21 쪽. Max Weber, Economy and Society(3 Vols.), vol. 1, eds. by Guenther Roth & Claus Wittich (New York: Bedminster Press, 1968), chapter 2, sections 14, 22, 25, 30, 31, 41. 막스 베버 著(조기준 譯), ꡔ社會經濟史ꡕ (삼성출판사, 1990), 제4장.
근대 서구문명의 뼈대를 이루고 있는 것은 자본주의이고 자본주의의 핵은 ‘합리주의’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