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8 20:37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hwp
합성으로는 `N/R+N`(`R`은 어근)형의 합성명사와 `V1-어+V2`형의 합성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파생으로는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합성어의 의미론적 측면이나 음운론적 측면보다는 그 내부 요소들의 통합관계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보다 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합성어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
설명
이 연구는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성형태론의 등장 이후 국어의 파생어 형성에 대한 연구는 이전의 구조주의적형태론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많은 파생어 형성규칙들이 다루어짐으로써, 그 기술이 체계화되고 정밀화되는 발전을 계속하고 있다 그러나 국어의 합성어 연구는 파생어 연구에 비하면 아직 그리 많은 진전을 보았다고 할 수 없는 처지에 있다 그 이유는 이은말과 합성어의 구별이 합성어 연구의 선결문제로 강조되면서도 만족할 만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이 논제가 구조주의적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생성형태론에서도 하나의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며, 또 합성어 형성에서는 파생어 형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규칙화할 만한 다양한 사실들이 쉽게 찾아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은말과 합성어의 구별은 어느 면에서는 상정된 문법 理論(이론)의 체계에 따라 결정되는 면이 있기 때문에, 이은말과 합성어의 구별과 합성어 형성 연구는 순환적으로 서로의 바탕이 되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합성을 다룰 때나 파생을 다룰 때나 통사론적 접근법을 최대한 적용해 보고자 한다. 합성으로는 `N/R+N`(`R`은 어근)형의 합성명사와 `V1-어+V2`형의 합성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파생으로는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그러므로 합성에서는 현대국어에서 가장 생산적인 대표적인 두 경우가 다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파생에서는 `N/R+Suf`형의 파생명사,사동사·피동사, 파생부사의 형성을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국어 파생의 한 부분만을 다룬 것이 된다. 본고에서는 합성어임이 분명한 일부의 합성어들로써 합성어형…(skip)
다. ,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제1장 서 론
1.1.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
1.2. 기본 concept(개념)
제2장 합성명사의 형성과 사이시옷
2.1. 문제의 제시
2.2. 합성명사 형성 규칙
2.3. 사이시옷
2.4. 사이시옷과 합성명사의 형성
2.5. 요약
제3장 합성동사의 형성
3.1. 문제의 제시
3.2. 통사적 구성과 합성동사의 구별
3.3. 합성동사 형성의 기제
3.4. 개별적인 합성동사 형성 규칙
3.5. 보조동사, 합성동사의 V2, 그리고 접미사의 문제 --‘지-`의 경우
3.6. 요약
제4장 파생명사의 구조와 접미사 선택
4.1. 문제의 제시
합성은 두 개의 어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통사론적 성격을 다분히 띠고 있는 형태론적 과정이다. 그러므로 합성명사 논의에서는 사이시옷을 의미론적 측면이나 음운론적 측면에서의 고찰보다는 통사론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할 것이며, 합성동사 논의에서는 합성동사 구성과 접속구성, 내포구성과의 차이를 밝히는 데 상당한 관심을 보일 것이다. 그러므로 합성에서는 현대국어에서 가장 생산적인 대표적인 두 경우가 다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파생에서는 `N/R+Suf`형의 파생명사,사동사·피동사, 파생부사의 형성을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국어 파생의 한 부분만을 다룬 것이 된다.
Download :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hwp( 46 )
이 연구는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는 그 내부구조의 분석에 통사론과 형태론의 두 층위에 걸치는 단순치 않은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국어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한다는 본고의 한 목적을 위해 가장 먼저 조명되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는 그 내부구조의 분석에 통사론과 형태론의 두 층위에 걸치는 단순치 않은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국어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한다는 본고의 한 목적을 위해 가장 먼저 조명되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파생은 일반적으로 합성보다는 통사론적 측면을 덜 가지지만, 본고에서 택한 파생명사와 파생형용사의 형성은 어기 자체의 구조적 복잡성이나, 어기와 접미사의 통합관계, 그리고 형태론적 구성과 통사론적 구성의 구별 등의 통사론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안고 있는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