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통 장신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2 13:32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의 전통 장신구.hwp
우리나라의 전통 장신구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우리나라의 전통장신구인 비녀, 뒤꽂이, 댕기, 빗, 옥, 거울(동경)에 대해서 조사하여 깔끔하게 정리한 자료입니다.
❍ 백옥비녀
옥의 성질이 견고하고, 표면이 매끄러울 뿐 아니라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며, 웬만한 충격에도 흠집이 생기지 않는 까닭에 예부터 옥이 고급 보석으로 간주되어 고귀한 신분의 상징물이 되었는데, 조선시대에는 여러가지 옥중에서 특히 백옥이 충성과 정절을 상징하였다. 리포트 작성에 모쪼록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
용이 그려진 궁전에서 용무늬 옷(곤룡포)을 입고, 용 머리 모양의 비녀를 꽂고, 용 허리띠를 둘렀으며 고려의 왕은 아예 용의 자손이라고 자부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1. 비녀
❍ 백옥비녀
❍ 용비녀
❍ 죽절비녀
2. 뒤꽂이
3. 댕기
1) 쪽댕기
2) 큰댕기
3) 앞댕기
4) 도투락댕기
5) 말뚝댕기
6) 제비부리댕기
4. 빗
1) 얼레빗
2) 참빗
3) 면빗
4) 상투빗
5) 음양소
5. 옥
6. 거울 (동경)
비녀머리의 수식에 따라서는 봉잠, 용잠, 원앙잠, 새머리잠, 고기머리잠, 매죽잠, 죽잠, 죽절잠, 목련잠, 모란잠, 석류잠, 가란잠, 국화잠, 화엽잠, 초롱잠, 호두잠, 두잠, 완두잠, 말뚝잠, 조라잠 등이 있는데, 조선시대에는 존비귀천(尊卑貴賤)의 差別이 심하여 용(龍)잠은 왕족들만이 쓸 수 있는 것이었고 봉(鳳)잠은 귀족들이 사용하였으며, 옥봉(玉鳳)잠, 도금매죽(鍍金梅竹)잠, 칠보쌍봉(七寶雙鳳)잠, 파란매죽(梅竹)잠, 칠보죽(七寶竹)잠, 수마노잠, 꽃잎잠, 조리잠, 옥초롱잠, 비취잠, 은호도잠, 매조잠, 석류잠 등은 양반과 사인가여인들이 사용하였으며 질이 낮은 나무비녀나 뿔비녀, 뼈비녀 등은 서민계층의 여인네들이 사용하였고 상중에는 존비귀천을 가리지 않고 흑각비녀나 나무비녀를 사용했다. , 우리나라의 전통 장신구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나라의 전통장신구인 비녀, 뒤꽂이, 댕기, 빗, 옥, 거울(동경)에 대상으로하여 조사하여 깔끔하게 요점한 자료입니다. 리포트 작성에 모쪼록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되며, 다들 A+ 받으시길 바랍니다.
전지전능한 영물(靈物)인 용이 하늘에 산다고 상상하였고, 왕이 하늘의 대리자로서 전지전능해야 하리라고 기대했던 옛사람들로서는 적절한 발상이었다. 그러므로 왕족 이외의 사람은 용무늬를 무엇에건 사용할 수 없었다. 비녀 머리가 용 모양인 용잠은 왕비와 세자빈 전용이었지만 혼례날의 새댁만은 신분이 어떻건 꽂을 수 있었다. 이는 옛 한국인들이 혼인을 최대경사로 여기고, 최대한 호사 부리도록 허락한 것인데 요즈음 사람들은 용잠(龍簪 )을 통하여 혼인의 의미와 옛 한국인의 지혜를 한번쯤 되…(skip)
순서






Download : 우리나라의 전통 장신구.hwp( 98 )
다.
❍ 용비녀
예나 지금이나 신분에 걸맞는 상징이 있게 마련인데, 우리나라 옛 왕의 상징은 용이었다.
그러나 예외가 없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