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ORT] [행정학연습] [행정학연습] 부산시민공원의 조성과 주변지역의 개발 그리고 파급效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29 08:19
본문
Download : 부산시민공원.hwp
하야리아 부대가 서면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 지역발전이 정체됨은 물론 지역주민과 시민(Citizen)들에게 많은 불편을 준만큼 시민(Citizen)휴식공간으로 조성, 시민(Citizen)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 옳다는 판단아래 뉴욕의 센트럴파크나 런던의 하이드파크와 같은 부산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세계적인 공원을 조성할 예정이며, 슬럼화 된 주변지역도 뉴타운 방식으로 개발하고 도로 등 기반시설을 우선적으로 설치하는 등 주변지역 개발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 도시기반시설 present condition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활동 주제
◉ 주변지역 개발 범위
부산시민공원, 미군기지반환, 시민공원, 하야리아부대, 공원, 미군기지
Ⅱ. 시민(Citizen) 공원의 조성
◉ 하야리야(Hialeah) 명칭의 由來
주한미군부산기지사령부가 설치된 이후 2006. 8월 초순까지 주한미군의 물자 및 무기보급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다가 2006. 8. 10 기지가 폐쇄되었다.
부산진구 범전ㆍ연지동 일원 543,360㎡(약 16만여평)의 대규모 부지이다.[행정학연습] [행정학연습] 부산시민공원의 조성과 주변지역의 개발 그리고 파급效果
◉ 부지 연혁
2) 관련 법률
◉ 위치와 면적
여기서 부산시민(Citizen)공원의 조성 present condition과 주변지역 개발, 더 나아가 부산시민(Citizen)공원이 부산에 가져다 줄 수 있는 파급efficacy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다.
Ⅱ. 시민(Citizen) 공원의 조성
Ⅲ. 공원 주변지역 개발
1. 기본 present condition
3. 개발의 방향
하야리아(Hialeah)는 미국 플로리다주(州)에 있는 도시이름으로 하야리아란 이름을 갖게 된 것은 1950년 9월 주한미군부산기지사령부가 주둔하고부터, 당시 초대사령관의 고향인`베이스 하야리아`에서 由來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따 하야리아란 인디언어로`아름다운 초원`이라는 뜻도 있따
◉ 주변지역 개발 배경
부산시민공원의 조성과 주변지역의 개발 그리고 파급효과
1. 기본 present condition
4. 기본 구상
일제강점기에는 경마장으로 사용(1930~ )하였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日本(일본)군대의 훈련장과 야영지로 사용하였다.
◉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06. 7. 1시행)
Download : 부산시민공원.hwp( 84 )
◉ 하야리야(Hialeah) 명칭의 由來
◉ 주변지역 개발 목적·성격
◉ 기본 전제
◉ 공원 기본구상안
부산시민공원의 조성과 주변지역의 개발 그리고 파급效果
◉ 공간 주제
순서
설명
◉ 기본 방향
◉ 수립 내용(시민(Citizen)공원 주변 종합계획)
◉ 반환공여구역 주변지역 종합계획 개요
Ⅰ. 들어가며...
◉ 위치와 면적
목차
4) 추진 일정
3. 공원 조성 개요
- 1945년 해방이후
2. 주변지역 present condition
3) 종합계획 구상(안)





- 1950년 한국전쟁 발발한 후
◉ 현 황
부산시는 하야리아부대 폐쇄 후 부지 전역을 공원화할 계획이다.
◉ 추진 상황
♣ 목 차 ♣
◉ 향후 추진계획
Ⅳ. 부산시민(Citizen)공원이 가져다 줄 파급 efficacy
◉ 대상지 present condition
1. 주변지역 개요
- 일제강점기
◉ 자연 환경
◉ 부지 연혁
2. 추진 일정
본문
2006년 8월 부산진구 범전ㆍ연지동 일원 543,360㎡(약 16만여평)의 부지에 자리 잡고 있던 미군기지 캠프 하야리야(kamp Hialeah)가 폐쇄됨으로써 부산시에 반환되었다. 하야리아부대는 2002년 3월 한미 간의 연합토지관리계획(LPP: Land Partnership Plan) 협정에 의거 2011년까지 강서구 녹산지역으로 이전될 예정이었으나, 2004년 10월 동 협정의 개정협정으로 이전계획이 백지화되고 반환시기도 2006년으로 앞당겨 지게 되었다.
◉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특별법(`06. 3. 3공포, `06. 9. 4시행)
Ⅰ. 들어가며...
1) 주변지역 개발 개요
다. 미 하야리아 부대 기능은 대구(워커,헨리), 왜관(캐롤), 진해 등 다른 미군부대에 분산 재배치된다.
◉ 공원 설계 관념
◉ 용도지역 present condition
◉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1945년 해방 이후 주한미군기지사령부가 들어섰으나 1948년 정부수립으로 해체, 철수 하였으며, 미군 철수 후 미국영사관과 유엔 산하 기구가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