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의 생태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3 08:31본문
Download : 갯벌의 생태계.hwp
Download : 갯벌의 생태계.hwp( 16 )
갯벌의 생태계에 대한 reference(자료)입니다,
,생활전문,레포트
설명
레포트/생활전문
갯벌의생태계cimous


갯벌의 생태계
순서
갯벌의 생태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갯벌의생태계cimous , 갯벌의 생태계생활전문레포트 ,
갯벌은 현재 많이 소외되어 있다 관심이라면 갯벌 생태계보다는 아마도 간척사업 쪽 일거 같다. 게 만해도 밤게, 범게, 달랑게, 칠게, 뿔물맞이게 등등 거의 20가지나 되었다. 이 책은 필자가 직접 갯벌탐사를 하면서 느낀 꼭 갯벌이야기가 아니더라도 그 지역의 culture 등등 여러 이야기를 했고 직접 찍은 갯벌생물 사진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실어 놓았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갯벌을 넓게 생각하고 더 좋아지게 되었다. 나도 관심이라면 관심일 수도 있고 그냥 갯벌이 신비해 보여서 이 책을 선택했다. 바다가 가깝긴 하지만 마음대로 갈 수 없는 나에게는 고마운 일이다. 난 특별히 글보다는 사진이 더 흥미로웠다. 백합 속에 속살이게가 살고 있는 것도 있었다. 지구상에서 유일한 서식지를 지켜줘야 할 것이다. 범게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황해에서만 서식한다고 한다. 안타까운 일이다. 등껍질의 호랑이 무늬 때문에 범게 인 듯한데 조금 무섭게 생겨서 거부감이 느껴진다. 또 갈게가 갈대를 먹는 모습의 사진도 흥미로웠는데 갈대를 먹어서 갈게인가 했더니 게는 원래 잡식성이기는 하지만 식물을 직접 섭취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런데 왜 먹고 있는 것이지? 아직 요인은 알려지지 않았다고 하는데... 요즘 나타나는 기상이변처럼 오염으로 인한 돌연변이 인가?
조개류는 17가지, 그중 백합이 왜 백합이냐면 그 무늬가 100가지도 넘는다고 해서 백합이란다. 또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다. 갯벌에 간다해도 눈 씻고 찾아봐도 볼 수 없는 모습이 많기 때문일것이다 돌기해삼이라든가 맵사리가 알을 몸에 붙이고 다니는 모습을 내가 언제 볼 수 있겠는가! 사실 생물 이름도 처음 안 것이다. 갯벌 생물이라면 흔히 먹는 굴, 맛, 조개류, 농게, 고둥 밖에 몰랐는데...... 이것들 중에서도 종류가 많았다. 그런데 그 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라 상품가치가 떨어져 별 관심을 기울이는 이가 없다. 특별한 관심이 아니고서는 신경이 가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백합 속에 속살이게라....…(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