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의 관모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19:14본문
Download : 삼국시대의 관모에 관해서….hwp
⑤ 황남동 제 98호고분(황남대총) 북분 금관: 황남대총은 남북으로 축조된 표형분으로 남북분에서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금제박판으로 만든 관테에 선단이 보주형인 입식을 5개 세웠다. 금제박판으로 만든 관테에 선단이 보주형인 입식을 5개 세웠다. 제작 기법은 아마 대륜이나 입식이 일정치 않은 점에서 가위로 적당히 자른 듯하며, 다른 금관과는 달리 련속산자형이나 녹각형입식이 아니고 수법도 조잡하고 관지름이 14 cm이므로 아마 이 금관의 주인공은 연소자는 최고위층의 가족 중의 1인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관테의 앞면... , 삼국시대의 관모에 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③ 서봉총 금관: 높이가 30.7 cm, 관대경이 18.4 cm이다.
④ 천마총 금관: 높이가 32.5 cm, 대륜폭이 4.5 cm, 대륜경이 20 cm로 피장자가 착용한 채로 발견되었는데, 신라의 다른 금관보다 대륜폭이 넓고 두꺼운 금판으로 되어 있으며 4단의 련속산자형입식 3개와 녹각형입식 2개를 세우고 많은 곡옥을 배치한 점으로 보아 이제까지 알려진 신라 금관 중에서는 최상품이다.
③ 서봉총 금관: 높이가 30.7 cm, 관대경이 18.4 cm이다. 여기서 북분의 금동관을 살피면, 금령총 금관과 그 형식이 비슷하나 좌우에 금제수식이 3조씩 달려 있따 이 금관은 곡옥이 많이 달려 있어 비교적 화려한 특징도 있따
⑥ 경주 교동 폐분 출토 금관: 총고가 12.8 cm, 관대경이 14 cm, 관대폭이 3 cm로서 금제박판 관대에 선단이 보주형인 입식을 3개를 세웠는데, 정면과 좌우에 세운 입식은 하부는 넓고 중간에서 상부에 이르러 3지로 갈라져서 선단이 보주형을 이루었다. 관테의 앞면과 양쪽의 입식 3개는 좌우로 가지가 뻗쳐 3단의 련속산자형을 이루고 후면 양측 입식 2개는 파상으로 굴곡되고 좌우로 엇갈리게 뻗어 녹각형을 이루고 있따 이 서봉총은 고분의 입지는 좋으나 다른 고분에 비해 부장품이 미약하고 대도는 없이 금동제소도만 출토되었기에 그 피장자의 신분적 지위가 최고 통치자라고 하기보다는 그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보인다.
레포트/인문사회






다. 관테의 앞면...
설명
Download : 삼국시대의 관모에 관해서….hwp( 12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삼국시대의 관모에 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