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ical.kr 기초신학계시론 > tropical1 | tropical.kr report

기초신학계시론 > tropical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ropical1

기초신학계시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4:13

본문




Download : 기초신학계시론.hwp




이런 상황은 바울로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복음을 전하는 데서도 표현되고 있다:
1고린 1,22: “유다인들은 기적을 요구하고 그리스인들은 지혜를 찾지만 우리는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를 선포할 따름입니다”
② 그러나 지금까지 말한 신앙이 기적의 전제라는 것은 Pascal의 다음 말을 생각하면 하나의 딜렘마에 빠진 것같기도 하다: “그리스도인들 중의 그 누구도, 그리고 죄인들 중의 어느 누구도 기적 없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실지 신약성서를 보면 기적으로 인해 사람들은 예수가 메시아이며 그리스도라는 신앙을 갖게 되었다는 진술을 많이 보게 된다 이에 대한 것을 요한복음의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볼 수 있다:
요한 2,11: “이렇게 예수께서는 첫번째 기적을 갈릴래아 지방 가나에서 행하시어 당신의 영광을 드러내셨다.
기초신학계시론



기초신학계시론_hwp_01.gif 기초신학계시론_hwp_02.gif 기초신학계시론_hwp_03.gif 기초신학계시론_hwp_04.gif 기초신학계시론_hwp_05.gif 기초신학계시론_hwp_06.gif

Download : 기초신학계시론.hwp( 25 )





기초신학계시론
다. 예수께서 베푸신 기적을 보고 사람들은 ‘이분이야말로 세상에 오시기로 된 예언자다’ 하며 저마다 말하였다”
그리고 9장: 예수께서 길을 가시다가 만난 소경을 치유해 주었을 때 그 눈을 뜬 자…(省略)

설명


기초신학계시론에 대한 글입니다.기초신학계시론 , 기초신학계시론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A.서론 : 기초신학이란 무엇인가? 1
1. 기초신학 : 신학의 원리, 기초, 근본 - 나의 물음 1
2. 호교론과 기초신학 2
3. 기초신학의 역사(歷史)적 근원과 처리해야할문제 4
B. 기초신학의 내용으로서 계시 8
Ⅰ. 계시관념에로의 접근 8
1. 계시차원에서 본 실재 12
1) 실재와 계시 - 계시와 실재 12
① 계시하는 존재 13
② 상징 14
2) 聖顯現 - 神顯現 (거룩함의 현실) : 성과 속의 일치 원리 14
3) 창조로서의 계시 16
4)계시로서의 시공 21
①시간 21
②공간 23
5) 계시로서의 인간 : 신앙내용 24
① 피조물로서의 인간 24
② 초월적 존재로서의 인간 25
6) 언어 관념 27
7) 양심 27
8) 역사(歷史)와 계시 27
Ⅱ. 행동 28
1. 20세기 계시관념 논쟁의 전환점 28
1) 행동 (Blondel) 28
2)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계시헌장 30
3) 해방신학에 대한 논쟁 31
Ⅲ. 구약성서의 계시 내용 33
1. 이스라엘의 하느님 33
1) 야훼의 계시 : 하나의 계시, 전체의 계시 33
2) 역사(歷史)의 주님 33
3)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분 34
4) 하늘과 땅의 창조자 34
5) 인격신 35
6) 약속하시는 하느님, 희망의 하느님, 미래의 하느님 35
Ⅳ. 신약성서의 계시에 대한 용어 37
1. 용어의 근본적인 상이성 38
1) αποκαλυπτειν: (revelation) 폭로, 드러남, 계시 39
2) Έπιφάινεια: Επιφαίνειν (나타남, 출현) 39
3) conclusion 40
2. 상이한 용어들의 연관성의 예 40
1) 종말론적으로 사용된 계시관념(αποκαλυπσις) 40
2) 육화적으로 묘사된 계시관념(Επιφανεια) 42
3). conclusion 43
Ⅴ. 예수 그리스도 - 계시의 정점 45
1. 예수 안에 나타난 계시의 충만 45
1) 시간의 충만 45
2) 공간의 충만 47
3) 예수는 구약의 계시 내용과 계시 규定義(정이) 충만 (구약의 사상) 53
4)예수는 창조 계시의 충만 55
5) 십자가 : 계시의 장소 56
6) 계시의 정점인 부활 59
2. 초월 그리스도론 65
Ⅵ. 성서와 성전(해석의 문제) 67
Ⅶ. 계시관념의 본질 요소 71
1. 기적 - 자연의 사실, 계시의 지평 관념 72
2. 예언 - 역사(歷史)의 사실 78
3. 영감 - 영적 삶의 사실 81
Ⅷ.해명사건으로서의 계시 85
1. 개시관념의 다양한 의미 85
1). 자연계시와 초자연계시 85
2). 일반 계시 86
2.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느님 해명 사건(Erschließüugserei- guis) 88
3. 그리스도인과 다른 이들의 신앙 89
4. 계시 목적 - 하느님이 인간을 만드셨다 90
5. 사적 계시의 의미 91
1). 사적 계시의 가능성 91
2) 사적 계시의 신학적 이해 93
① 일반 계시와의 관계 94
② 교회의 계시 95
6. 사적 계시에 대한 우리의(또 환시자의) 태도 97
1) 사적 계시와 환시 98
2) 환시자의 태도 99
7. 맺 음 말 103
Ⅸ. 제1차 바티칸 공의회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05
1. 제1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 105
2. 제1차 바티칸 공의회 105
1). 역사(歷史)적 위치 105
2) 초자연적 계시와 자연적 계시 106
3) conclusion 110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11
1). 계시헌장의 형성사 111
2) 공의회의 계시관념 : 계시헌장의 구조 112
3).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테마로서의 계시 117
Ⅹ. 교회일치 신학의 문제점(問題點)으로서의 가톨릭 계시관념 123
1). 마틴 루터(M.Luther) 123
2) E.부룬너(E.Brunner)와 K.바르트(K.Barth) 124
3). R.불트만(R.Bultmann) 125
4). W.판넨베르크(W.Pannenberg) 127
5). K.라아너의 계시관념 127
Ⅺ. 계시 종교 129
1. 종교의 의미 129
2. 계시종교의 신학적 이해 131
3. 계시 종교의 유형 132
1) 유태교 132
2) 이슬람 132
3) 힌두교 134
4) 불교 135
5) 다른 종교들 137
6) 무속신앙 137
7) 무신론 137
8) 계시 종교들간의 구분 138
4. 종교의 다원주의 138
5. 종교간의 대화 138
1) 종교의 본질인 대화. 139
2) 종교간 대화의 자세 : 상호인정 - 자기인정. 140
3) 아시아에서의 종교간의 대화. 141
4) 대화와 선교. 142
5) 그리스도교의 타종교와의 대화. 143
6. 계시에 비추어본 종교자유 144
Ⅻ. 참고서적 145



여기에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대로 확신이다. 기적을 통해 신앙을 내세우는 이를 믿지 말라. 이리하여 마태복음에서는 종말에 “거짓 그리스도와 거짓 예언자들이 나타나서 어떻게 해서라도 뽑힌 사람들마저 속이려는 큰 기적과 이상한 일들을 보여 줄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기초신학계시론에 대한 글입니다. 그리하여 제자들은 예수를 믿게 되었다”
기적을 보고 믿는다는 것은 요한복음에 종종 나오는 예수의 기적에 대한 보고의 conclusion 으로 나온다:
요한 6,14: “보리빵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5천 명을 먹이시고 먹고 남은 부스러기를 모아 들이니 열두 광주리에 가득 찼다. ... 그러나 너희는 믿지 말아라”(마태 24,24-27) 하고 경고한다.
요한 4,48: “예수께서는 너희는 기적이나 신기한 일을 보지 않고서는 믿지 않는다 하고 말씀하셨다”
요한 20,29: “보지 않고 믿는 자는 복이 있다”
이것은 기적이나 징표만을 보고 믿는 것은 부족한 신앙이라는 말이다.
전체 41,25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ropical.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