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21:56본문
Download : [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hwp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맹자는 웃고 무엇을 손에 잡을 …(skip)
[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 [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기타레포트 , 논문 복기초復其初 의미 일
Download : [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hwp( 20 )
[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설명
레포트/기타
논문,복기초復其初,의미,일,기타,레포트
순서
![[논문]%20복기초復其初의%20의미에%20대한%20일%20고찰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B3%B5%EA%B8%B0%EC%B4%88%EF%A5%A6%E5%85%B6%E5%88%9D%EC%9D%98%20%EC%9D%98%EB%AF%B8%EC%97%90%20%EB%8C%80%ED%95%9C%20%EC%9D%BC%20%EA%B3%A0%EC%B0%B0_hwp_01.gif)
![[논문]%20복기초復其初의%20의미에%20대한%20일%20고찰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B3%B5%EA%B8%B0%EC%B4%88%EF%A5%A6%E5%85%B6%E5%88%9D%EC%9D%98%20%EC%9D%98%EB%AF%B8%EC%97%90%20%EB%8C%80%ED%95%9C%20%EC%9D%BC%20%EA%B3%A0%EC%B0%B0_hwp_02.gif)
![[논문]%20복기초復其初의%20의미에%20대한%20일%20고찰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B3%B5%EA%B8%B0%EC%B4%88%EF%A5%A6%E5%85%B6%E5%88%9D%EC%9D%98%20%EC%9D%98%EB%AF%B8%EC%97%90%20%EB%8C%80%ED%95%9C%20%EC%9D%BC%20%EA%B3%A0%EC%B0%B0_hwp_03.gif)
![[논문]%20복기초復其初의%20의미에%20대한%20일%20고찰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B3%B5%EA%B8%B0%EC%B4%88%EF%A5%A6%E5%85%B6%E5%88%9D%EC%9D%98%20%EC%9D%98%EB%AF%B8%EC%97%90%20%EB%8C%80%ED%95%9C%20%EC%9D%BC%20%EA%B3%A0%EC%B0%B0_hwp_04.gif)
![[논문]%20복기초復其初의%20의미에%20대한%20일%20고찰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B3%B5%EA%B8%B0%EC%B4%88%EF%A5%A6%E5%85%B6%E5%88%9D%EC%9D%98%20%EC%9D%98%EB%AF%B8%EC%97%90%20%EB%8C%80%ED%95%9C%20%EC%9D%BC%20%EA%B3%A0%EC%B0%B0_hwp_05.gif)
![[논문]%20복기초復其初의%20의미에%20대한%20일%20고찰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B3%B5%EA%B8%B0%EC%B4%88%EF%A5%A6%E5%85%B6%E5%88%9D%EC%9D%98%20%EC%9D%98%EB%AF%B8%EC%97%90%20%EB%8C%80%ED%95%9C%20%EC%9D%BC%20%EA%B3%A0%EC%B0%B0_hwp_06.gif)
다. 이는 물론 맹자의 적자지심赤子之心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맹자는 대인大人이란 적자의 마음을 잃지 않은 자라고 했는데2) 그 시초로 돌아가야 함은 바로 이러한 어린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뜻이다.
맹자의 적자설은 곧 성선설과 같다. 이 구절에 대한 주석에서 주자는 학學이란 본받는다(效)는 뜻이며 그 본받음의 목적은 그 시초를 회복함(復其初)라고 했다. 복기초復其初는 본래 노장老莊에서 비롯된 것으로 노장의 공부를 통해 완성된다 노장에서 복기초의 核心(핵심)적인 내용은 ‘내어 맡김’이다.1) 그 시초란 무엇인가? 그리고 배움의 목적이 왜 그 시초를 회복하는 것일까? 이러한 궁금증이 일어날 만도 한데 과문한 탓으로 아직 그에 대한 글을 찾을 수 없었다. 내어 맡김은 ‘나라는 생각을 버림(無我)’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무아에서 유학의 복기초와 노장의 복기초가 만날 수 있따
核心(핵심) 단어: 복기초, 적자지심, 내어 맡김, 무아, 자득
Ⅰ. 유학儒學의 복기초復其初
주자는 사서四書에 주석을 붙이는 일에 평생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주자 이후 사서는 유학 공부에 있어 오경에 앞서는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 시초는 무엇일까? 그 시초는 물론 인간이 태어난 직후의 어린아이 때를 말한다. 아마 이러한 당연한 결론 때문에 복기초에 대한 논의가 없었는지도 모른다.
[논문]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복기초復其初의 의미에 대한 일 고찰
유학儒學의 공부 목적은 어린 아이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復其初)이다. 즉 배움의 목적은 어린아이로 되돌아가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사서 중에서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논어論語]이며, 논어 첫 구절이 바로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學而時習之 不亦悅乎’이다. 유학에서 복기초 공부의 核心(핵심)은 욕심을 줄이는 것이고, 도달할 수 있는 경지는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慾不踰矩와 부동심不動心이다. 즉 인간은 태어날 때 오직 순선한 마음만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욕심을 줄이는 것으로의 복기초는 불완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