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GIS산업의 바람직한 구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15:58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GIS산업의 바람직한 구축.hwp
그러므로 연구 및 학술단체 각 분야에서는 정부 및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과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각 분야의 연구 결과를 GIS 산업에 반영할 수 있는 plan이 필요하다.
(3) GIS 산업의 국내 현재상황
앞서 살펴본 GIS 발전단계를 적용하여 국내 GIS 산업현재상황을 살펴보면 <표 2>와 같이 나타내면,
분 야
항 목
발전단계
유아기
발아기
성숙기
1.1.1.1. 공간정보 구축 및 가공
∙Digital Data
∙Data Collection
∙Surveying
∙Data Conversion
∙Data Processing
1.1.1.2. 理論(이론) 및 기술, 서비스 분야
∙System Integration
∙GIS Consulting & Audit
…(To be continued )
Download : 우리나라 GIS산업의 바람직한 구축.hwp( 61 )
전자政府(정부)구현을위한GIS의구축
다. 또한 민간 업체가 이 많은 분야에 대한 노하우 및 연구를 진행하기엔 경제적·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다.
순서
전자정부구현을위한GIS의구축 , 우리나라 GIS산업의 바람직한 구축경영경제레포트 ,
우리나라 GIS산업의 바람직한 구축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민간기업의 경우 산업영역은 크게 GIS S/W업체, 데이터, 서비스의 구축과 판매영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따 현재 국내에서 GIS 소프트웨어 공급은 외산 및 국산의 GIS S/W 업체, GIS 데이터의 구축은 항측 업체와 기타 소규모 GIS 업체, GIS 서비스는엔지니어링업체와국내유수의시스템통합(SI:System Integration)업체들이 담당하고 있따 그러나 실제로 GIS 사업영역들은 뚜렷이 구분되기보다는 국가 GIS 사업과 공공기관 및 지자체의 응용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긴밀히 연결되어 있따
연구 및 학술단체의 경우 여러 분야의 전문화된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따 다시 말하자면 GIS의 경우 측량, 측지, 지도에 관한 기본 지식 외에 해당 업무에 대한 전문적 지식, 전산지식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식은 개별적 및 단편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지식을 종합적인 시각을 통해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