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사회사업의 정의(定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5 13:03
본문
Download : 학교사회사업의 개념.hwp
Alderson도 학교사회사업이란 `사회적 정서적 문제를 가진 학생을 돕기 위해 (1) 손상된 사회적 기능의 회복, (2) 개인과 지歷史(역사)회에 존재하는 불변적인 능력에 의한 자원의 제공, (3) 사회적 역기능을 예방하는 것이다. Johnson은 학교사회사업을 `학생 개인 및 학생 집단의 기능과 성취에 방해가 되는 사회적 혹은 정서적 문제를 극복하도록 돕는 것이며, 모든 사회사업영역이 그런 것처럼 손상된 사회기능을 회복시키고 개인과 지歷史(역사)회에 자원을 제공하며 사회적 역기능을 방지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 개별 사회사업적 접근에 보충하여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두고 사회적 역기능의 예방적 측면까지를 포함하는 입장이다. Knudson은 `부adaptation(적응) 이나 정서장애아를 도와 그들이 학교에서 자유롭게 교육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전문서비스이며, 문제학생의 무력한 행동을 조기에 발견, 예방, 치료하는 교육의 중요한 도구이다. 이와 관련하여 Konopka는 `학교사회사업은 학생이 사회적, 정서적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학교에서 기대하는 기능이나 목표(goal)를 성취하지 못할 때 이를 도와주는 노력`이라고 정이하였다.`라고 말하여 학교사회사업의 대상과 기능에 초점을 두어 정이하였다.
셋째, 학생 개인을 원조하기 위해 부모, 학교, 지歷史(역사)회의 활용뿐 아니라 이러한 환경요소들 간의 연결망을 중요시하는 측면이다 Costin은 학교사회사업이란 학교의 주요 목적달성을 위한사회사업의 여러 가지원리와방법의 적용으로서, 학생이 자신의 문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학교와 부모가 똑같이 그들의 문제에 …(drop)
학교사회사업의 개념 , 학교사회사업의 개념인문사회레포트 , 학교사회사업 개념


설명
순서
학교사회사업의 정의(定義)
다. 학교사회사업의 대표학자인 Johnson과 Alderson의 정이가 이 분류에 속한다.`라고 말했다.
Download : 학교사회사업의 개념.hwp( 81 )
학교사회사업의 정의(定義)
레포트/인문사회
학교사회사업,개념,인문사회,레포트
학교사회사업의 개념(槪念)
학교사회사업은 그 영역이 광범위하여 다음과 같이 5가지 측면으로 구분하여 요점할 수 있따
첫째, 여러 가지 장애로 학교생활에 adaptation(적응) 하지 못하고 학습효과(效果)도 문제가 있는 학생을 돕는 치료적 활동으로 개별 사회사업에 초점을 두고 있는 측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