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양신라적성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25 08:16
본문
Download : 단양신라적성비.hwp
,법학행정,레포트
단양신라적성비에 대한 자료입니다. 비(碑)는 위가 넓고 두꺼우며, 아래가 좁고 얇다. 단양신라적성비를찾아서 , 단양신라적성비법학행정레포트 ,
성재산 적성산성 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비로, 신라가 고구려의 영토인 이 곳 적성을 점령한 후에 민심을 안정시키기 위해 세워놓은 것이다.
3. 단양신라적성비의 歷史(역사)적 배경 및 내용
-비문 : 글씨는 1.5㎝∼3㎝의 직경으로 가로 세로 줄을 잘 맞추어 쓴 예서풍의 해서체로 본래 고구려 땅인 적성현(단양의 옛지명)의 지명이 3번씩이나 적혀있다 비문의 문장은 크게 사등분으로 대별도 된다 첫째는 O년 O월 중 왕 교사라한 부분의 진흥왕에 …(省略)
순서
단양신라적성비를찾아서
Download : 단양신라적성비.hwp( 44 )
단양신라적성비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다.
1978년에 30㎝ 정도가 땅속에 묻힌 채로 발견되었는데, 비면이 깨끗하고 글자가 뚜렷하다.
글자는 가로와 세로의 줄을 잘 맞추고 있고, 예서풍(隸書風)이 있는 해서(楷書)로서 서예연구에 귀중한 data(資料)가 된다 글자체는 china(중국) 남북조 초기의 것과 일치하며, 굴곡을 지닌 율동적인 글씨로 해서(楷書)에서 예서(隸書)로 옮겨가는 과定義(정의) 여운이 그대로 나타난 운필법(運筆法)이다. 윗부분은 잘려나가고 없지만 양 측면이 거의 원형으로 남아있고, 자연석을 이용한 듯 모양이 자유롭다.
단양신라적성비의 윗부분이 거의 절단, 파손되었지만 비 표면은 22행으로 이루어졌고 각 행의 명문도 20자씩으로 짐작된다 19행까지는 20자씩으로 모두 380자이고, 20행과 21행은 19자씩으로 28자이며, 끝행은 12자로 명문은 도합 430자로 추산되는데, 지금 남아 있는 글자수는 총 284자로 거의 판독이 가능하다. 전체의 글자수는 440자 정도로 추정되는데, 지금 남아있는 글자는 288자로 거의 판독할 수 있다 글씨는 각 행마다 가로줄과 세로줄을 잘 맞추고 있으며, 예서(隸書)에서 해서(楷書)로 옮겨가는 과定義(정의) 율동적인 필법을 보여주고 있어 서예 연구에도 좋은 data(資料)가 되고 있다
2. 단양신라적성비 탁본
545∼550년의 신라시대.
높이 93㎝, 윗너비 107㎝, 아랫너비 53㎝, 두께 22㎝ 내려오면서 14㎝, 5㎝ 로 얇아진다. 단양신라적성비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