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 난자 채취 및 발생 watch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1-16 22:26
본문
Download : 생쥐 난자 채취 및 발생 관찰.doc
순서
생쥐의 난소에서 난포란을 분리하여 배양하고 그 결과를 실험한 실험 리포트입니다. 이 MPF의 활성은 세포주기 중 간기에서는 사라지고 중기에서 강력하게 나타난다.
그림 2. 난할
(A) 2세포기 (B) 4세포기 (C) 8세포기 (D) 초기 상실기 (E) 후기 상실기 (F) 포배기
3. 실험방법
(1) 실험재료
- 실험동물: 3,8 주령 암컷 생쥐 (FVB)
- 난모(卵母)세포 수집과 배양: 배양액(CZB media), 배양 접시, mineral oil(배양액이 증
발하는 것 방지), 35 mm dish, Pasteur pipette, 수술용 핀V, 70% 알코올, 수술용 가위,
티슈, dbc AMP(0.1mg/ml), Bisindolylmaleimide l (10μM), 1ml 주사기, 30 …(drop)
생쥐 난자 채취 및 발생 watch






,공학기술,레포트
생쥐의 난소에서 난포란을 분리하여 배양하고 그 결과를 test(실험) 한 test(실험) 리포트입니다. 이상의 연구는 MPF의 활성이 각 종에만 제한되지 않는 보편적인 것이며, 감수분열과 체세포 분열 모두에 특이적인 것임을 암시하고 있따
(4) Dibutyryl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dbc AMP)
dbc AMP는 cAMP의 derivative로서 세포막 투과가 가능하므로 외부에서 처리하면 세포내 cAMP의 농도를 높이는 효능를 나타낼 수 있따 배양하는 난자에 dbc AMP를 처리하면 성숙이 억제됨이 보고되었다.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3) Maturation Promoting Factor (MPF)
MPF는 1971년에 Masui와 Markert등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핵막의 붕괴와 염색체 농축 및 난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따 예를 들어 성숙한 생쥐의 난자에 존재하는 활성이 큰 MPF는 양서류나 불가사리의 난자에서 핵막 붕괴를 유도할 수 있따 또한 양서류와 불가사리의 경우 체세포 분열 중인 세포에서 추출한 MPF는 제 1 감수분열 중기에 정지되어 있는 미성숙 난자에서 핵막 붕괴를 일으킨다. 포유류에서는 성숙한 난자와 중기에 정지되어 있는 상실배에서 활성이 강한 MPF가 존재한다. 생쥐_난자_채취_및_발생_관찰- , 생쥐 난자 채취 및 발생 관찰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생쥐 난자 채취 및 발생 관찰.doc( 18 )
생쥐_난자_채취_및_발생_watch-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