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 민속과 호남인의 인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14:22
본문
Download : 호남의 민속과 호남인의 인성.hwp
끝으로 민중성이란 歷史(역사)적인 조건이 배태시켜 놓은 culture적 특질로서 오히려 공시적인 여러 현상을 통해서조차 드러나고 있는 예다. 오늘의 …(생략(省略))
Ⅱ. 호남의 민속과 집단적 인성의 상관성지춘상교수는 “남도문화특질론”에서 먼저 호남의 문화결정요소를 자연적, 역사적, 사회적 조건... , 호남의 민속과 호남인의 인성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호남의 민속과 호남인의 인성.hwp( 63 )
레포트/인문사회
Ⅱ. 호남의 민속과 집단적 인성의 상관성
지춘상교수는 “남도文化(문화)특질론”에서 먼저 호남의 文化(문화)결정요소를 자연적, 역싸적, 사회적 조건...
순서
호남의 민속과 호남인의 인성
,인문사회,레포트
다. 풍류성 역시 생활의 여유를 향유하는 바탕에서 길러진 culture적 현상으로서 호남culture에서 두루 확인되는 바다.
호남은 자타가 공인하는 예향이다.
이러한 이율배반성이 기저가 되어 호남의 culture는 형성되었는데, 호남의 culture를 特性별로 3분하여 예술성, 풍류성, 민중성으로 요약했다. 다른 어느 지역보다 살기 좋은 천혜의 자연적 조건을 가진 것에 반해서, 歷史(역사)적으로는 백제에 의한 마한의 망국, 신라에 의한 백제의 망국, 왕건에 의한 견훤의 몰락, 그리고 계속되는 고려조 왕건의 훈요십조와 조선조 가렴주구의 온상이 되었던 사실들을 열거하여 자연적 조건이 극히 좋은 호남지역이 歷史(역사)적으로는 가장 억압받고 피해를 입어 왔던 사실을 대비시킨 것이다.






설명
Ⅱ. 호남의 민속과 집단적 인성의 상관성
지춘상교수는 “남도culture특질론”에서 먼저 호남의 culture결정요소를 자연적, 歷史(역사)적, 사회적 조건으로 일별하여 보고, 가장 기층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는 자연적 조건과 歷史(역사)적인 조건의 이율배반성을 지적했다. 그래서 예술성에 마주향하여 는 새삼 논의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