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3 14:00
본문
Download : 처용가_119152.hwp
“나후덕”에... , 처용가기타레포트 ,






순서
“나후덕”에...
Download : 처용가_119152.hwp( 99 )
다.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설명
처용가
ㅇ 라후는 원래 범어‘Rahu`의 음역으로, 원래는 별이름이다. 구용성 가운데 제 8성으로 일월을 가리키는 식신을 의미한다. 「삼국유사」에는 처용을 동해용왕의 일곱자식 중의 하나라 했고, 급간벼슬을 주어 왕정을 보좌하도록 하였다. 당나라와 같은 신라보다 강대한 외국의 조정에서만 쓸 수 있는 말로 보며,…(省略)
ㅇ 라후는 원래 범어‘Rahu`의 음역으로, 원래는 별이름이다.
“나후덕”에 대상으로하여 양주동은 일식신 나후의 화신으로 간주하면서 한편 적자로서 잉태된 지 6년 만에 출생한 “나후라”와 관계되는 것으로 보아 신라 처용설화의 처용이 참을성 있는 행위로 보았는데 이것은 『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처용랑 설화에서 구름과 안개로 일광을 가려서 헌강왕으로 하여금 길을 잃게 한 동해용의 행위를 일식현상을 설화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보고 미녀인 자기 아내와 동침하는 역신을 보고 노를 드러내지 않았다는 처용의 행위를 인욕행으로 해석하였다.
- ‘라후’란 매우 객관적 칭호이면서 조금은 폄시하는 말이다. 구용성 가운데 제 8성으로 일월을 가리키는 식신을 의미한다.
- 그런데 고려가요 처용가를 고려시대나 조선초기 소작으로 본다는 것도 문제가 있고 신라왕을 고려나 조선에서 과연 ‘라후’라고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점도 의심스럽다. 라후란 곧 신라에서 벼슬을 한 사람이라는 뜻에서 ‘라후’라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따
- 라후를 일식신이나 인욕보살로 해석하는 시각은 (천하대평 나후덕)에서 천하가 태평한 이유를 처용의 공덕으로 보려는 문맥파악에서 비롯된 것이고 라후를 신라왕으로 보려는 견해는 신라성대는 처용보다는 신라왕과 직결된다는 사고에서 기인했다.ㅇ 라후는 원래 범어‘Rahu`의 음역으로, 원래는 별이름이다.
「삼국유사」‘처용랑 망해사’조에 보면, 신라 헌강왕은 처용에게 왕정을 보좌하라는 뜻에서 급간 자리를 주었다.
- 그러나 구요성 중 제팔성인 ‘라후성’과 아라한과를 얻은 ‘나후라 아수라왕’은 별개의 존재로서 혼합되어 논의할 대상이 아니며, 또한 역신에 대한 처용의 행위를 인욕행으로 보는 것도 재고의 여지가 있따
한편, 김동욱은 나후는 신라의 군후 즉 나왕이고 ‘나후덕’은 ‘나왕덕’으로 보아진다고 하였다. 구용성 가운데 제 8성으로 일월을 가리키는 식신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