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4 11:35
본문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hwp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hwp( 14 )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순서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다. ,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사범교육레포트 ,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1. 개관
제1물결(-1870)
농업사회
제2물결(1870-1970) 제조업 사회
제3물결(1970-2000)산업사회
Fordism
소품종 대량생산체제
modernism
제4물결(21世紀)
정보화사회
PostFordism
다품종소량생산체제
Postmodernism 생활양식
산업구조/사회구조 재편
인간의 가치관 전환
*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배경
① 정치적측면: 냉전종식, 비이데올로기적 문제부각(여성, 인종, 環境, 지歷史(역사)회문제)
② 경제적측면: 다국적자본-소비의 덕목화, 주체적 자아, 비판의식 해체
③ 사회적측면: 인간과 사물의 기호화/기호적 의미화를 정당화
④ 文化(문화)적측면: 감성중심, 감각적판단, 이질지행성, 자기표현, 해방된 감성, 동적文化(문화) 추구
⑤ 예술적측면: 예술적 독창성의 굴레 없음
⑥ 학문적측면: 학문적 다원주의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입장
ㅇ 료타르 Lyotard: 포스트모더니즘 - 대서사grand narrative에 대한 거부, 형이상학적 철학에 대한 거부, 총체적 사고에 대한 거부, 단순하고도 환원적인 틀에 저항하는 복잡하고 다형태적인 것
* 모더니티, 포스트모더니티,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1) 모더니티 modernity: 근대성, 현대성(18세기 계몽주의가 대표적)
2) 포스트모더니티 postmodernity: 일반적 용어(고대성, 근대성과 연결되는 definition )
모더니티 ‘이후’의 어떤 것, 모더니티를 대체할 수 있는 어떤 것
3)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文化(문화)의 한 조류
①모더니즘의 연장선으로 보는 시각 ②모더니즘과의 단절로 보는 시각
ㅇ 현대성 modernity: 계몽주의 사상
- 인간 이성의 무한한 발전에 대한 믿음과 자연에 대한 지배, 주체와 객체, 나와 타인을 구별하는 보편적…(drop)



포스트모더니즘과_교육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