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06:27
본문
Download : 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hwp
임용된 사람 184명 중 135명(73.4%)이 연고지 도에 배치되었고 49명(26.6…(drop)
순서
1920년대및1930년대조선총독부의인사정책에관한연구
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1920년대및1930년대조선총독부의인사정책에관한연구 , 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다.
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hwp( 24 )
머리말
1. 조선총독부의 관리임용과 보통문관시험
1) 조선총독부의 관리임용
2) 보통문관시험의 응시자
3) 보통문관시험의 합격자
2. 보통문관시험 합격자의 임용과 승진
1) 임용율
2) 임용의 특징
3) 고등관 승진
맺음말
2) 임용의 특징
1910년대에는 보통문관시험 합격자를 출신지역에 배치하는 지역연고주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
설명
1920년대 및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인사정책에 관한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1920·30년대에도 그러한 원칙은 관철되었다. <표 10>은 보통문관시험 합격자의 본적지와 임용지를 비교한 것이다. 보통문관시험 응시자의 대부분이 순사나 면리원 등의 하급관료나 관청 급사 등이었다는 사실에서도 보듯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조선인 응시자의 대부분은 본적지를 떠나지 못했다. 이 글에서 말하는 출신지역은 본적지와 현 거주지의 도계가 일치하는 경우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