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3:04
본문
Download :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hwp
그 첫 번째 단계는 `사업 分析(program analysis)`으로, 사업의 …(To be continued )
%20%ED%8F%89%EA%B0%80%20%EC%97%85%EB%AC%B4%EC%99%80%20%EB%8C%80%EC%83%81%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8%95_hwp_01.gif)
%20%ED%8F%89%EA%B0%80%20%EC%97%85%EB%AC%B4%EC%99%80%20%EB%8C%80%EC%83%81%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8%95_hwp_02.gif)
%20%ED%8F%89%EA%B0%80%20%EC%97%85%EB%AC%B4%EC%99%80%20%EB%8C%80%EC%83%81%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8%95_hwp_03.gif)
%20%ED%8F%89%EA%B0%80%20%EC%97%85%EB%AC%B4%EC%99%80%20%EB%8C%80%EC%83%81%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8%95_hwp_04.gif)
%20%ED%8F%89%EA%B0%80%20%EC%97%85%EB%AC%B4%EC%99%80%20%EB%8C%80%EC%83%81%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8%95_hwp_05.gif)
%20%ED%8F%89%EA%B0%80%20%EC%97%85%EB%AC%B4%EC%99%80%20%EB%8C%80%EC%83%81%EC%97%90%20%EB%94%B0%EB%A5%B8%20%EC%9C%A0%ED%98%95_hwp_06.gif)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
순서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 ,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인문사회레포트 , 정책평 유형 평 업무와 대상 따른 유형
레포트/인문사회
다.
애비평가로서의 평가성 평정은 현재의 프로그램(program]) 이 앞으로 실시할 엄격
한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일이다.설명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
Download :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hwp( 68 )
정책평,유형,평,업무와,대상,따른,유형,인문사회,레포트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
목차
정책평가의 유형
Ⅰ. 평가 업무에 따른 유형
1. 예비평가
2. 본평가
Ⅱ. 평가 대상에 따른 유형
1. 총괄평가
2. 과정평가
3. 종합평가
4. 메타평가
5. 통합평가
bibliography
정책평가의 유형
I. 평가 업무에 따른 유형
1. 예비평가
예비평가는 현재 진행 중인 government 개입이 그 형태상 전면적인 과학적 평가
에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초기에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소규모로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이윤식 외,2006). 즉, 제대로 된 정책평가를 위해서
는 예비평가를 먼저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970년대 미국 도시문제연구소(Urban Institute)의 Joseph Wholey는
평가성 평정(evaluability assessment) 방법을 개발했고, 그 후 1980년대
까지 그 방법은 수정 보완되어 실제 캐나다의 여러 government 기관에 도입되었 ...
정책평가의 유형) 평가 업무와 대상에 따른 유형
목차
* 정책평가의 유형
Ⅰ. 평가 업무에 따른 유형
1. 예비평가
2. 본평가
Ⅱ. 평가 대상에 따른 유형
1. 총괄평가
2. 과정평가
3. 종합평가
4. 메타평가
5. 통합평가
* bibliography
*정책평가의 유형
I. 평가 업무에 따른 유형
1. 예비평가
예비평가는 현재 진행 중인 government 개입이 그 형태상 전면적인 과학적 평가
에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초기에 큰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소규모로
살펴보는 것을 말한다(이윤식 외,2006). 즉, 제대로 된 정책평가를 위해서
는 예비평가를 먼저 실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1970년대 미국 도시문제연구소(Urban Institute)의 Joseph Wholey는
평가성 평정(evaluability assessment) 방법을 개발했고, 그 후 1980년대
까지 그 방법은 수정 ?보완되어 실제 캐나다의 여러 government 기관에 도입되었
다. 그런데 이러한
예비평가를 실시하는 담당자들은 앞으로 실시할 전면적인 평가에 대한 우
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러한 평가를 앞으로의 의사결정 과정에 활용
하기 위한 정치적 目標(목표)도 함께 가지게 되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평가성 평정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그램(program]) 의 어떤 측면이 앞으로의
전면적인 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실시되는 연속적
인 data(資料) 수집 및 分析의 과정을 의미한다. Wholey(1983)에 의하면, 평가가능성(評價可能性, evaluability)이란 어
떤 프로그램(program]) 이 결과 지향적인 방향으로 관리되기 위한 모든 요건을 갖추
고 있는지, 또한 결과 지향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를
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