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特性)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29 17:16
본문
Download :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_2074962.hwp
그래서 반도체를 semi(절반) + comductor(도체) 라고 부르는 것이다.
2. 기초이론(理論)
1. 반도체
(1) 반도체는 전기 저항값(비저항)이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적 값을 가지는 물체를 말한다. .
순수한 반도체는 부도체나 마찬가지로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는다. 또는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 : 전기가 흐르는 정도)가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 정도 되는 물질을 말한다. 그러나 도체는 전기가 잘 흐르기는 하지만 전류의 양을 조절하기 어려운 반면에, 반도체는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조절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아 이처럼 도체와 부도체의 advantage(장점) 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전기전도도의 조절 용이성으로 인하여 우리 생활에 중요한 존재가 된 것이다.
* 부도체(不導體) : 자유 전자가 거의 없어 전류가 흐르지 못하는 물체. 부도체는 전기전도도가 거의 0(제로)라고 할 수 있다아
반도체의 비저항(물체가 지니는 고유한 저항)은 일반적으로 온도(溫度)에 따라 많이 변하므로 부도체와 반도체의 범주가 엄격하게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닐것이다.
반도체 물질인 규소(Si)와 게르마늄(Ge)은 보통의 경우 부도체인데, 이 들의 결정 내에 불순물이 첨가되면 전류가 흐르는 정도가 급격하게 변하여 도체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예비-다이오드의특성 ,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_2074962.hwp( 77 )
설명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特性)에 대한 자료입니다. 도체는 전기전도도가 아주 크다. 꼭 도체의 50%의 전류만 흐…(skip)
예비-다이오드의특성(特性)
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特性)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다. 그런데 다른 부도체와는 달리 규소나 게르마늄 등은 어떤 인공적인 조작을 가하면 도체처럼 전기가 흐르기 스타트한다.
순서






◆반도체 다이오드의 特性(특성)◆
1. test(실험) 목적
- pn-접합 반도체 다이오드의 전류-전압 特性(특성)을 측정(測定) 하여 비선형
저항으로써의 다이오드 特性(특성)을 확인한다.반도체 다이오드의 특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즉 빛을 비춰준다든가, 열을 가해준다든가, 특정 불순물을 넣어준다든가 하면 도체처럼 전기가 흐르는 것이다.
* 도체(이끌, 안내할 導 물체 體) : 자유 전자가 많아서 전류가 잘 통하는 물체, 외부에서 다른 전하가 들어오면 잘 이끌어주고 안내해준다면 그 물체를 당연히 잘 통과할 수 있으니 이를 물체를 도체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