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ank Lloyd Wright의 Robie House에 나타난 Verticality, Horizontality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8:23
본문
Download : Robie House.hwp
4-2. 작품分析
4-1. 작품分析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연구의 theory(이론)적 고찰
5-1. 결 론
3-2. 로비하우스(Robie House)모형 제작
앞서 발표한 논문(중간고사제출)에서는 Frank Lloyd Wright의 전반적인 생애와 건축사상, 건축배경 및 特性(특성)에 대하여 파악하고, 프레리양식(Prairie Style)과 그 양식을 따르는 주택들(Prairie House)에 대한 理論(이론)을 바탕으로, 로비하우스(Robie House)와 그 주택이 가지는 수직적인 성질(Verticality)과 수평적인 성질(Horizontality)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따라서 나는 이 주제에 대하여 더 능동적인 자세로 다시 한 번 탐구하고자 한다. 벽난로는 굴뚝이라는 특성에 의해 그공간이 수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중 략> 다시 <그림1>에서 내부 공간을 보면 중심에 벽난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외관에서 보면 지붕체와 발코니와 정원벽 등이 만들어내는 수평선들이, 몇단 후퇴 된 수직선들과 강한 대조를 이루며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수직성과 수평성이 이루어내는 견고하면서도 우아한 아름다움을 말하면서도 연구가 단지 이론적인 측면에서만 그쳤다는 점에 아쉬움이 남았다.
지붕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3-3. 소결
3-2-2. Robie house 모형을 통한 탐구
레포트 > 기타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Frank Lloyd Wright의 Robie House에 나타난 Verticality, Horizontality에 대한 연구Ⅱ
제5장. 결론
앞서 발표한 논문이 理論(이론)적인 고찰과 analysis(분석) 을 바탕으로 한 연구라면, 이번 연구는 理論(이론)적인 것에만 그치지 않고 Robie House를 모형으로 재현해내고 탐구하는 實驗적인 측면을 더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둔다. 벽난로를 중심으로 하여 공간이 개방되어있고 상호 연결되어있다.
제3장. Robie House의 재현을 통한 탐구
다. 그러나 수직성과 수평성이 이루어내는 견고하면서도 우아한 아름다움을 말하면서도 연구가 단지 理論(이론)적인 측면에서만 그쳤다는 점에 아쉬움이 남았다. 지붕 길게 나온 처마는 끝에 달린 칼날같은 홈통과 더불어 수평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외관에서 보면 지붕체와 발코니와 정원벽 등이 만들어내는 수평선들이, 몇단 후퇴 된 수직선들과 강한 대조를 이루며 더욱 강조되고 있다.





Reference List
3-1. 탐구의 범위 및 방법
3-1-1. 조사 설계와 자료(data) 수집과정
2-2. Frank Lloyd Wright와 로비 하우스(Robie House)
Download : Robie House.hwp( 29 )
<중 략>
2-3. 로비하우스(Robie House)의 건축 특징
제1장. 서론 _ Introduction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앞서 발표한 논문(중간고사제출)에서는 Frank Lloyd Wright의 전반적인 생애와 건축사상, 건축배경 및 특성에 대하여 파악하고, 프레리양식(Prairie Style)과 그 양식을 따르는 주택들(Prairie House)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로비하우스(Robie House)와 그 주택이 가지는 수직적인 성질(Verticality)과 수평적인 성질(Horizontality)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앞서 발표한 논문이 이론적인 고찰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 연구라면, 이번 연구는 이론적인 것에만 그치지 않고 Robie House를 모형으로 재현해내고 탐구하는 실험적인 측면을 더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둔다. 따라서 나는 이 주제에 대하여 더 능동적인 자세로 다시 한 번 탐구하고자 한다. 벽난로를 중심으로 하여 공간이 개방되어있고 상호 연결되어있다.
다시 <그림1>에서 내부 공간을 보면 중심에 벽난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1. 프레리하우스(Prairie House)와 Horizontality
Abstract
순서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4장. Robie House의 Verticality, Horizontality 分析
제1장. 서론 _ Introduction
설명
Frank lloyd wright, Robie House, 로비하우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수직, 수평, Verticality, horizontality
3-2-1. Robie house 모형 제작 과정
제1장. 서론 _ Introduction
길게 나온 처마는 끝에 달린 칼날같은 홈통과 더불어 수평성을 극대화 하고 있다. 따라서 수직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공간들이 수평적으로 배치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직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공간들이 수평적으로 배치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벽난로는 굴뚝이라는 特性(특성)에 의해 그공간이 수직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