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18 02:43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hwp
(5) 바틀렛의 개별 사회복지실천 현장 분류
-서비스 체계: 정책/program. 공공/민간…(省略)
사회복지,실천현장과,사회복지사,역할,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 역할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다.
2) 이용시설: 주거서비스는 제공하지 않는다.
순서
Download :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hwp( 32 )
사회복지 실천현장과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의 역할
1. 사회복지실천현장 중 1차 현장과 2차 현장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1) 기관의 기능 혹은 목적에 따른 분류
1) 사회복지 실천 1차 현장
-기관의 주된 기능과 목적이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2) 사회복지 실천 2차 현장
-기관의 일차적인 기능은 따로 있으며, 필요에 의해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자신의 집에 거주하는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2) 기관 설립주체 및 재원 조달 방식
1)공공기관
-政府(정부)의 지원에 의해 운영되며,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의 업무는 政府(정부)규정이나 지침에 의해 규정된다된다.
(4) 주거서비스 제공여부
1) 생활시설: 주거서비스를 포함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말한다.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사회서비스 기관, 간접서비스나 행정지원을 위해 조직된 협의체로 나뉜다.
-서비스를 계획하고 관리, 지원하는 행정체계와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집행체계로 나뉜다.
2) 민간기관
-사회복지 관련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으로서 기부금이나 후원금, 재단 전입금, 기타 서비스 이용료 등을 주요 재원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社會福祉士(사회복지사)들이 중심이 되어 활동한다.
(3) 서비스 제공방식
1) 행정기관: 간접서비스
- 사회복지 서비스 전달체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행정업무를 수행하고 기관 간 연계 및 협의 업무를 담당한다.
2) 서비스 기관: 직접 서비스
주요 대상이나 문제영역에 따라서 서비스 기관이 분류되며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 서비스가 기관의 목표(goal)달성과 서비스의 효율성에 미치는 긍정적 影響(영향)이 인정되어 사회복지 실천이 부분적으로 수행되는 실천현장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