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0:55본문
Download :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hwp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1
순서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ㄱ)은 이른바 짧은 부정문으로 부르고 (1ㄴ)과 (1ㄷ)은 긴 부정문으로 부르는데, 이러한 부정문의 두 유형에 대한 문법적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 용어가 과연 바람직할까 다른 문법 범주의 하위 유형에 대한 문법적 명칭에는 그 유형에 대한 문법적인 특징이나 의미적인 특징이 반영되어 있는데 반해, (1)에 제시된 부정문의 2개 유형을 가리켜 짧은 부정...
일반적으로 어느 한 문법 범주에 대한 명칭은 그 범주의 문법적 특징이나 의미적 특징이 반영된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4) 아래에서 그런 부정문의 보기를 살펴보자.
1. 머리말
다.2)
그러나 국어 부정법의 하위 유형의 경우에는 다른 문법 범주에 붙인 명칭과는 다른 양상을 엿볼 수 있다. 부정법은 주어진 언어 내용을 의미적으로 부정하는 문법적 방법을 말하는데,3) 국어의 부정문은 그 통사적 구성에 따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그런데 많은 논자들은 전자의 부정문을 가리켜 짧은 부정문(단형부정문, 짧은꼴 부정문)이라 하고, 후자의 부정문을 가리켜 긴 부정문(장형부정문, 긴꼴 부정문)이라 부르고 있다. 그리고 종결법은 화자에 대한 청자의 의향 자질에 따라 서술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으로 유형화하고,1) 접속법은 접속되는 두 문장의 의미 관계에 따라 흔히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으로 유형화한다. 하나는 단순히 부government 사 ‘아니’나 ‘못’을 서술어 앞에 분포시켜 형성되는 부정문이며, 다른 하나는 본용언에 어미 ‘-지’를 결합하고 그 뒤에 부정이 의미를 가진 보조용언 ‘아니하-’나 ‘못하-’ 또는 ‘말-’을 분포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부정문이다. 이를테면 종결어미가 결합되어 그 문장을 끝맺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를 종결법이라 부르고, 접속어미가 결합되어 두 개 이상의 문장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를 접속법이라 부른다.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1. 머리말 일반적으로 어느 한 문법...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1
ㄷ. 철수는 가지 마라.
Download :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hwp( 82 )
ㄴ. 철수가 가지 않았다.
국어 부정문의 유형 명칭에 대하여 1. 머리말 일반적으로 어느 한 문법...
설명
(1) ㄱ. 철수가 안 갔다.